Hot Issue
VIEW MORE
국립창원대 박민원 총장, ‘남해군 명예군민’ 됐다! 국립창원대 박민원 총장, ‘남해군 명예군민’ 됐다! 국립창원대학교 박민원 총장이 남해군 명예군민으로 위촉됐다. 국립창원대는 남해군이 23~25일 개최하는 ‘제30회 남해군민의 날 및 화전문화제’에서 박민원 총장에게 ‘명예군민증’을 수여했다고 밝혔다.23일 열린 명예군민증 수여식에는 장충남 남해군수와 노영식 경남도립남해대학 총장, 남해군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충남 군수가 박민원 총장에게 남해군 명예군민증패를 전달하며 명예군민으로 위촉했다. 남해군은 박민원 총장의 명예군민증 수여에 대해 “(대학 통합 등을 통하여) 교육 및 지역사회
국립창원대 이종근 교수, 공학 분야 상위 2.5% 국제저널 논문 게재! 국립창원대 이종근 교수, 공학 분야 상위 2.5% 국제저널 논문 게재!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환경 내 미세입자 산화 잠재력 예측 국립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환경에너지공학전공)는 이종근 교수가 고려대학교, 세종대학교와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를 통해 공학 분야 상위 2.5%(JCR rank 5/179)에 해당하는 국제저명학술지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에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predict oxidative potential of
국립창원대 김정현 총학생회장, 박완수 경남지사 간담회 정책 제안 ‘주목’ 국립창원대 김정현 총학생회장, 박완수 경남지사 간담회 정책 제안 ‘주목’국립창원대학교는 김정현 총학생회장이 박완수 경상남도지사가 경남지역 총학생회장단과의 간단회에 참석해 경남의 다양한 청년 정책 제안, 대학생들이 느끼는 문제 등에 대해 대화하는 시간을 갖고 해당 간담회 관련 내용은 23일 KNN 뉴스 등의 언론을 통해 보도돼 주목을 받았다고 밝혔다.박완수 지사는 경남도청에서 경남도내 총학생회장단과 간담회를 열었으며, 청년이 지역에 머무를 수 있는 정책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은 나눈 가운데 국립창원대 김정현 총학생회장도 이번 간담회에
국립창원대-KAI, 50억 규모 IPS 교육 플랫폼 개발 착수! 국립창원대-KAI, 50억 규모 IPS 교육 플랫폼 개발 착수!-IPS 전문 교육과정 모델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개발 계약 체결-국립창원대학교와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이하 "KAI")는 ‘산학연계 IPS(Integrated Product Support) 전문 교육과정 모델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금액은 총 50억 원이며, 계약 기간은 3년이다.21일 킨텍스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KAI 전시관에서 개최된 이번 체결식은 국립창원대 박민원 총장, KAI 박경은 CS본부
전준호 교수 연구팀, 환경분야 상위 5%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국립창원대 전준호 교수 연구팀, 환경분야 상위 5%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한국 하천 내 네오니코티노이드 전국 실태 첫 규명국립창원대학교는 스마트그린공학부(환경에너지공학전공) 전준호 교수 연구팀의 연구 논문이 환경분야 상위 5% 국제저명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F 11.3, JCR 상위 5% in Environmental Sciences)에 2025년 10월자로 게재됐다고 21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국립창원대 전준호 교수 연구팀이 참여해 수행한 국내 최초의 ‘전국 단위 네오니코티노이드(Neo
박종관 교수 연구팀, 자연 유기물질(NOM) 분자 특성 종합 분석 성공! 국립창원대 박종관 교수 연구팀, 자연 유기물질(NOM) 분자 특성 종합 분석 성공국립창원대·KIST 유럽연구소·경북대·Clemson대 공동 연구팀, 첨단 상호보완 분석 기법으로 자연 유기물질(NOM) 분자 특성 종합 분석 성공"NOM 특성 분석의 새로운 기반 마련, 수처리 기술 발전에 기여“ 국립창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전공 박종관 교수 연구팀이 자연 유기물질(NOM)의 복잡한 분자 구조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첨단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Chromatography A (분야 상
오용석 교수 연구팀, '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개발로 욕창 진단 혁신! 국립창원대 오용석 교수 연구팀'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개발로 욕창 진단 혁신!국립창원대/전기연/화학연 공동연구팀, 국제저명 학술지 표지논문 게재압력, 온도, 가스 신호 실시간 모니터링 통한 욕창 조기 진단·감염 예방국립창원대학교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GAST)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오용석 교수 연구팀은 한국전기연구원(KERI) 최명우 박사, 한국화학연구원(KRICT) 조동휘 박사 연구팀과의 학교-연구소-병원 공동연구를 통해 고령자나 장애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욕창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한상일 교수, 레몬주스 이용 ‘친환경 금속유기골격제 이산화탄소 포집제’ 개발! 국립창원대 한상일 교수, 레몬주스 이용 ‘친환경 금속유기골격제 이산화탄소 포집제’ 개발!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다공성 나노소재연구실(지도교수 한상일)은 레몬주스를 이용해 다공성 이산화탄소 포집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특히 이번에 개발된 레몬주스를 이용한 다공성 이산화탄소 포집제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 레몬주스 및 전이금속을 이용해 대기압 조건에서 합성하여 대량 합성이 간단하고 친환경 합성의 장점을 가진다. 특정 환원제를 소량 첨가하였을 경우, 개시제로 작용하여 결정 성장을 촉진 시켜 합성에 소요되는
국립창원대, 4단계 BK21사업 '인공지능' 분야 (예비)선정! 국립창원대, 4단계 BK21사업 '인공지능' 분야 (예비)선정!“지역사회 AI 대전환 날개 달아” 국립창원대학교는 24일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4단계 두뇌한국21(BK21) 혁신인재 양성사업 '인공지능' 분야 추가 선정평가(예비) 결과 '(경남창원 산업 연계 정주형) DNA²+ 인공지능융합 교육연구단(단장 인공지능융합공학과 유선진 교수)'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평가에서는 총장의 강력한 AI대전환 지원 의지와 지역 산업과의 밀접한 AI 연계 사업계획으로 좋은 평가
[세계일보] "인디아나 존슨 현실판, 국립창원대 박물관 김주용 학예실장!"
[세계일보] "인디아나 존슨 현실판, 국립창원대 김주용 학예실장!”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 김주용 학예실장이 세계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우연에서 시작된 인연으로, 죽는 날까지 역사를 찾는 고고학자로서의 사명을 다할 겁니다.”는 뜻을 밝혔다.세계일보는 김 학예실장과의 인터뷰 기사(2025년 10월 23일자)를 보도했다. 해당 기사는 김주용 학예실장을 “인디아나 존스의 현실판과 다름없다.”고 소개하면서 시작했다.김주용 학예실장은 인터뷰에서 국립창원대 학예실장, 고고학자로서 이 같은 열정을 쏟는 이유에 대해 “이들이 누구인지 찾는 과정은
국립창원대 RISE사업단 ‘2025년 기업지원솔루션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 협약식!
국립창원대 RISE사업단 ‘2025년 기업지원솔루션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 협약식!국립창원대학교 RISE사업단은 도서관 5층 대회의실에서 경남지역 5개 기업과 ‘기술개발 및 사업화 분야 시제품 제작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립창원대 RISE사업단 이순일 부단장, 사업단 실무진을 비롯해 경남지역 5개 선정기업 대표 및 관계자가 참석해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의 추진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2025년 기업지원솔루션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은 경남 지역기업의 기술혁신과 제품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국립창원대에 ㈜세경씨앤디 대학발전기금 3000만원 기탁!
국립창원대에 ㈜세경씨앤디 대학발전기금 3000만원 기탁!국립창원대학교는 23일 대학본부에서 ‘(주)세경씨앤디 대학발전기금 기탁식’을 개최했다.이날 행사는 (주)세경씨앤디 심원용 대표이사와 국립창원대 박종규 연구산학부총장, 서정랑 대학발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심원용 대표이사는 후학양성과 대학발전 등을 위해 써 달라며 3,000만 원의 대학발전기금 기탁했다. 심원용 대표이사는 “교육부 글로컬대학30사업을 비롯해 정부지원 대형 국책사업에 대거 선정된 국립창원대가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 인재양성과 기업 맞춤형 산학협력
국립창원대 박물관, 「영호남 청자 一品展 : 땅에서 나온 고려의 걸작」 개최!
국립창원대 박물관, 「영호남 청자 一品展 : 땅에서 나온 고려의 걸작」 개최!창원 ‘구룡형 연적’, 진도 ‘귀문 향로’ 고려 두 걸작 한자리고려시대 창원의 역사와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 조명한 특별전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은 국립목포대학교 박물관, (재)해동문화유산연구원과 공동으로 2025년 남도학술교류 특별기획전 ‘영호남 청자 一品展(일품전) : 땅에서 나온 고려의 걸작’을 개최한다. 22일 개막한 이번 특별전은 2026년 1월 30일까지 국립창원대 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열린다.27년간 이어온 국립창원대와 국립목포대의 남도학술교류사업의
‘2025 제35회 경남건축문화대전 & 경남건축가회 회원전’ 성료
‘2025 제35회 경남건축문화대전 & 경남건축가회 회원전’ 성료 경남·부산·울산 대상,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한 혁신적인 도시건축 모델 탐색국립창원대학교는 ‘2025 제35회 경남건축문화대전 & 경남건축가회 회원전’이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 2층 조현욱아트홀에서 개최되었다고 22일 밝혔다.올해 경남건축문화대전은 계획대상지를 경남, 부산, 울산으로 한정하여, 수도권 일극체제에 대응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한 혁신적인 도시건축 모델을 탐색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전국의 건축 관련 대학에서 총 133작품이 응모되
국립창원대 글로컬대학사업단, 국립대-정출연 DNA+특성화 모델 구축사업 중간보고회 및 워크숍 개최
국립창원대 글로컬대학사업단, 국립대-정출연 DNA+특성화 모델 구축사업중간보고회 및 워크숍 개최 국방·모빌리티·AI 분야 공동연구 성과 공유… 논문 7건·특허 1건 등 가시적 성과 창출국립창원대학교는 한국전기연구원과 공동으로 ‘DNA+ 특성화 모델 구축사업 중간보고회 및 워크숍’을 제주 파르나스호텔에서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대한전기학회 전기설비부문회 추계학술대회 전문워크숍과 공동으로 진행되었으며 ‘방산·모빌리티·인공지능 분야 산업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학연협력 모델 구축’을 주제로 열렸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주요 연
국립창원대 ‘공식 ‘SNS 학생 크리에이터’ 본격 활동 나서!
국립창원대 ‘공식 SNS 학생 크리에이터’ 본격 활동 나서!학생 중심 뉴미디어 홍보 강화로 ‘소통하는 국립대’ 실현국립창원대학교는 미래의 국립창원대 학생, 재학생 등 학생중심의 대학홍보 콘텐츠 제작 및 확산 등을 위해 ‘국립창원대 공식 SNS 학생 크리에이터’를 선발해 임명장을 수여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고 10일 밝혔다. 국립창원대는 학생 주도의 캠퍼스 소식 발굴 및 콘텐츠 제작을 통한 대학 이미지 제고, 학생 친화형 SNS 홍보 강화 및 온라인 브랜드 가치 확산 등을 목표로 지난달 말 학생 SNS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