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원대, ‘대학·교육청·학교 경남교육공동체포럼’ 성과 계속 확산한다!

국립창원대학교는 학교 현장교육 혁신을 위한 대학-교육청-학교로 구성된 교육공동체의 성과 발표를 위한 ‘제2회 경남교육공동체포럼’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경남교육공동체포럼은 시도교육청 관계자, 예비교사, 현장교사, 교수가 참여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며, 포럼은 신규 개발된 교육 모형, 현장 적용 사례, 예비교사 참여 등에 관한 성과 발표와 토론 등이 이뤄졌다.
경남교육공동체는 2~3명의 현장 교사와 교수가 한 팀이 되어 현장에 필요한 신규 교육 모형을 개발하고, 예비 교사는 개발된 교육 모형의 현장 적용과정 학습 및 검토, 수업 운영에 참여했다.
박민원 총장은 인사말에서 “교원양성지원센터의 경남교육공동체 개최를 축하하고 우수한 교사 양성에 우리 대학의 역할을 더욱 강화할 것이며, 글로컬대학으로서 국립창원대의 지역공동협력 모델인 유그릭(UGRIC)모델* 실현을 위해 경상남도교육청과의 협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유그릭(UGRIC): 국립창원대 지역공동협력체계로 대학(University), Government(지자체), Research(연구소), Industry(산업체), Community(지역사회)를 의미함.
경상남도교육청의 유강민 장학관(유아특수교육과)은 기조발표에서 “제2회를 맞이한 경남교육공동체포럼은 현장교육 혁신과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경상남도교육청과 국립창원대의 협력의 성과”라며 의미를 강조하고, “발표된 혁신 교육모델들이 경남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교육의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겠다”고 전했다.
포럼에서는 교육혁신 모형은 학부의 양성과정인 특수교육과 유아교육, 교육대학원의 양성과정인 영어교육과 영양교육 분야의 교수 및 교사의 발표와 영역별 참여한 장학사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특수교육 영역에서는 ‘현장연계 예비특수교사를 위한 도전증가모형기반 디지털교육과 적용’을 주제로 김혜정 교수(국립창원대 특수교육과)가 발표하고 박주현 교사(창원천광학교)가 토론했다.
박주현 교사는 특수교육분야 발표에 대해 ”교육모형기반의 디지털역량 향상을 위한 예비교사의 다양한 도전으로 경남의 특수교육 혁신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유아교육 영역에서는 ‘현장수업연계 유아교육 교재교구 개발 및 적용’을 주제로 조수연, 강선영 교사(창원 용호유치원)가 발표했으며, 2023년 개발한 교재교구 개발모델을 기반으로 예비교사들이 유치원 교사들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발표했다.
영어교육 영역에서는 ‘AI를 활용한 초중등 영어단어 수업 실행 연구’를 주제로 조민경 교수(국립창원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양인선 교사(창원 장복초), 강하영 교사(합천 가회중)가 발표했다. 영어교육팀에서는 생성형AI 이미지 플랫폼과 프롬프팅활동을 통해 영어단어 학습을 하는 혁신교육 모델과 함께 학생들의 긍정적 영어 학습경험과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학습 참여 향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서 경상남도교육청의 김동지 장학사(외국어교육)는 “최근 경상남도의 펭톡과 같은 AI기반 영어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어 조민경 교수팀의 교육모델은 경남 영어교육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영양교육 영역에서는 ‘경남지역 식문화 기반 현장중심 학교급식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주제로 김지미 교수(국립창원대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가 현장교사들과 함께 개발한 영양교육 모델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경상남도교육청 이진경 장학사(영양교육)는 경상남도 영양교육의 방향과 사례를 소개하며, 김지미 교수팀의 영양교육모델의 중요성을 토론했다.
전체 토론에서 경상남도교육청 김성경 장학사는 “제2회 경남교육공동체포럼을 통해 경상남도교육청과 국립창원대 교원양성지원센터가 교육공동체 운영모델을 함께 만들고 협력하며 확장 운영됐다”며 “도교육청, 학교 및 유치원 현장, 대학이 협력해 한해를 준비하고 실행하여 운영한 경남교육공동체의 향후 역할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사진: 국립창원대가 학교 현장교육 혁신을 위한 대학-교육청-학교로 구성된 교육공동체의 성과 발표를 위한 ‘제2회 경남교육공동체포럼’을 개최했다.
내용 문의 : 교육학사과 055)213-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