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의 새로운 소식들을 여러분들께 전달 드립니다.
공지사항
-
19 2025.02
공지(필독) 25학년도 1학기 수강신청 안내 및 2025학년도 전기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자료 배부
◆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입학을 축하드립니다.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오티는 진행되지 않습니다.대학원 운영 및 수강신청 자료는 첨부파일로 전달드립니다.학사안내부터 졸업방법 등등 오리엔테이션 자료에 다 있으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학사안내 필독) 추가 궁금한 부분 있으시면 문화테크노학과 조교 와글쪽지(yundj), 공지톡 윤다정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창원대학교 와글 아이디는 학기 시작 1일~2일 전에 생성됩니다.※ 창원대학교 앱 필수 설치(휴 보강 안내 예정)1. 일반대학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운영방법 안내 ● 학사 안내 - 첨부파일 오리엔테이션 자료 확인 (학사안내 꼭 확인) - 문화테크노학과 학사 공지톡 (https://open.kakao.com/o/gfF6WzYc) - 입장 비밀번호는 개인전화번호, 문자 외국인은 이메일로 전달 (입학 후 비밀번호를 모르시는 경우 학과사무실 방문 혹은 와글 쪽지 yundj 로 문의주세요) ● 지도교수 - 1학년 1학기 말 지도교수 필수 지정 해야합니다.(1학기 5월, 2학기 11월 진행) 학기중에 연구계획서(자유형식) 작성하여 교수님에게 지도교수 요청 후 교수님 승인 하셔야 지도교수 확정.(1학기 4월, 2학기 10월 까지) ● 학위취득요건 - 수료: 석사학위과정 수업연한 2년 24학점 이상, 박사학위과정 수업연한 2년 36학점 이상, 석박사학위과정 수업연한 4년 60학점 이상 이수시 수료 (평점 3.0 이상이여야 함) - 졸업: 수료학점이수, 외국어시험 통과, 종합시험(전공시험) 통과, 졸업논문(학위논문) 통과 ※ 학위논문작성계획서는 논문심사 받는 학기 전학기까지 (문화테크노) 학과사무실로 제출 ※ 박사과정 학위논문 작성자는 학과 내규에 따라 자격요건을 충족해야 함. ● 수료 후 연구생 - 대상: 수료생으로 학위논문 제출예정자 및 논문지도 신청자2. 선수과목 지정안내 (아래 내용 해당시 학과로 무조건 연락 (055 - 213 - 3090) 추후 신청방법 단톡 안내예정) ● 일반대학원 석과과정 입학생의 전공이 학사과정에서 이수한 전공과 다르거나 박사과정 입학생의 전공이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전공이 다른 경우 1) 제 1학기 초에 지도교수로부터 선수과목을 지정받아 강의 이수해야 함. - 선수과목을 지정받은 학생은 조교에게 지정과목 전달해야 이수 가능. (와글쪽지(yundj), 공지톡(윤다정)에게 이수과목 전달) 2) 선수(동족계통) 과목 인정 신청서 제출.(1학기 초) - 석사과정: 학사과정에서 이수했떤 과목 중 선수과목으로 인정가능한 과목. - 박사과정: 출신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교과목의 내용과 유사성 확인. ● 선수과목 지정 및 선수(동족계통)과목 인정신청 해야 하는 경우 ex) 경영학사 -> 공학석사 / 공학학사 -> 경영석사(선수과목 3과목 이상 이수) ex) 공학석사 -> 문화예술경영학박사 / 문화예술경영학석사 -> 공학박사 (선수과목 4과목 이상 이수) 선수과목 지정 및 선수(동종계통)과목 인정 신청서 안내3. 수강신청 시 유의상항 ● 이수학점 안내 - 학생은 지도교수와 학과(부)장 또는 주임교수의 수강지도를 받아 지정된 기간에 수강할 교과목을 신청하여야 함. - 학생은 동일 교수로부터 석사학위 15학점, 박사학위 18학점, 학․석사연계 12학점, 석․박사통합 30학점을 초과하여 하여 수강할 수 없음. (2018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 - 편입학생인 경우 전적대학에서 최대 수료학점의 1/2 (석사12학점, 박사18학점) 인정 받을 수 있고, 남은 학점은 모두 문화융합기술협동과 수업만 들어야 함. 타대학, 타학과 수업 이수시 졸업학점을 채울 수 없음. - 석․박사 과정의 전공과목 이수 시에 타 학과, 타대학원 및 학점교류관계에 있는 국내․외의 타대학(교)의 대학원에서 취득한 학점은 졸업학점 또는 수료학점의 1/2 (석사12학점, 박사 및 석박사통합 18학점) 초과하여 이수할 수 없음. ex)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석사생이 문융기 12학점 타학과 (산업대 문화테크노학과) 12학점 이수시 졸업 수료학점 채워짐. ※ 종합시험을 위해서는 가능한 문화융합기술협동과성 수업 2/3 이상 이수 바람. 타학과 수강신청서 제출방법 안내 링크 ●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 안내 - 수료학점 석사학위과정 24학점 이상, 박사학위과정 36학점 이상, 석박사학위과정 60학점 이상 - 필수수강과목 [문화정책론] [인문예술과과학기술융합] 중 1과목 이상 이수. ※ 매 년도마다 열리지 않으니 위 과목 개설 시 꼭 필수수강 하시기 바랍니다. ● 학위논문(졸업) 과목 안내 - 석사논문연구, 박사논문연구 - 전필 (졸업논문 심사받는 학기에 신청바람.) : 논문을 제출하는 학기에 수강가능하고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과목(0학점)이며, 논문의 통과여부에 따라 S(급제), U(낙제)로 결정한다. ※ 과목별 분반 확인 후 지도교수님 과목 수강신청 하셔야 합니다. ● 학과 교과목 안내 - 석사 연구 지도 : 졸업논문 세미나 강의로 지도교수님과 상담 후 수강신청 가능한 과목. (3학점 인정) - 박사 연구 지도 1,2,3 : 졸업논문 세미나 강의로 지도교수님과 상담 후 수강신청 가능한 과목. (각 과목당 3학점 인정)4. On-Line 수강신청 방법 ● 신입생 수강신청기간 - 2025.02.24(월) 09:00 ~ 2025.02.26(수) 18:00 ● 수강신청 링크 ☞ 수강신청 바로가기 (PC버전) ● 신입생 학번조회방법 1. 수강신청 링크 들어가기 2. 신입생 학번 조회 들어가서 이름 생년월일 적고 학번 검색 (신편입생 임시학번 조회는 2.23.(일) 14시부터 조회 가능) 3. 신입생 수강신청 비밀번호 입력 (개강이전:주민번호 뒷자리 7자리, 개강이후: 포탈비번과 동일) (수강신청 링크 들어가면 나오는 사진참고)
-
14 2025.04
2025-1학기 학위청구 논문 심사 계획(안) 안내
2025-1학기 학위청구 논문 심사 계획(안) 안내2025-1학기 논문심사계획(안) 수립 첨부파일 필독!!〇 논문 심사 신청 및 심사료 납부기간 2025. 4. 14.(월) ~ 4. 16.(수)〇 신청대상 재학생․수료자(수료 후 연구생 등록) ⇒ 외국어 및 종합시험 통과 ⇒ 논문 심사 신청 가능〇 논문 심사비(석사: 100,000원, 박사: 300,000원)납부계좌: 농협 848-01-018178 (예금주 : 창원대학교 대학원)※ 심사료 납부(입금) 시 본인 성명과 학과(전공)로 입금 예시)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홍길동 → 홍길동문융*논문 심사가 시작되면 논문 심사 유무와 관계없이 논문 심사료 반환 불가〇 신청방법 - [재학생] 창원대학교 와글 학사정보시스템 → 학사정보 → 논문심사신청→논문명 입력→신청→저장→논문심사비 납부 - [수료후 연구생] 와글 학사정보 논문 수강신청*학과(전공)→논문심사신청(본인)→논문명입력(본인)→신청(본인)→저장(본인)→논문 심사비 납부(본인) - 신청 후 학과사무실로 연락(공지톡 윤다정에게 논문 신청했다고 연락주시면 됩니다!)〇 논문 심사위원 추천 : ‘25. 4. 17.(목) ~ 4. 21.(월)〇 논문 심사 기간: 25. 5. 2.(금) ~ 6. 19.(목)※ 석사 2번, 박사 3번 지도교수님과 일정 상의하여 심사 진행, 본심(논문발표)에 주임교수(이병훈교수님) 필수 참석해야 함. - 학과로 논문발표 일시 보내주시면 이병훈교수님에게 일괄 전달하겠습니다! 발표일 정해지면 학과로 연락주세요. ※ 박사졸업생은 학과 내규사항으로 증빙서류 본심(논문발표)전 학과제출 〇 완성논문 제출기간:25. 7. 15.(화) ~ 7. 17.(목) 17:00까지 ※ 논문 심사 신청 후 논문 제목 변경: 학생 본인이 직접 온라인(학사정보)에서 변경함!!학사정보 → 논문 심사 신청 → 논문 제목 변경 신청 (변경기한: 2025.06.19.) ※ 세부일정은 붙임 계획(안) 참조 ※ 연구윤리 이수: 학위논문 청구 해당학기 이수 수료증 제출 (이전학기 이수증 인정불가) ※ 기타사항: 표절율 기준 20% 미만
-
10 2025.03
2025학년도 1학기 자격시험(종합시험, 외국어시험) 안내
○ 학생신청기간: 2025. 3. 10.(월) ~ 3. 14.(금) ○ 신청방법처리자신 청 방 법학 생 와글 → 학사정보시스템 → 학사정보 → 외국어시험 or 종합시험 응시 신청 ※ 외국어시험 면제신청자: 학사정보시스템에 응시 신청 안함 「 9. 외국어시험 면제신청 참조 」○ 시험기간: 2025. 3. 31.(월) ~ 4. 3.(목) 시험기간 사이에 학과에서 일정 정하여 공지톡에 안내, 공지된 시간 내에 시험 참여가 어려운 경우 학과로 연락필수. * 외국어시험: 일정 확정되는대로 공지톡에 안내 예정 * 외국어, 종합시험 장소: 위치 확정되는대로 공지톡에 안내 예정 * 종합시험 일시: 일정 확정되는대로 공지톡에 안내 예정 * 진행방법 - 한 과목당 50분 시험 10분 휴식 총 5번 시험시간 중 원하는 시간 선택하여 진행 (석사 3과목, 박사 4과목) - 정시에 시험 시작하여 총 50분동안 시험 진행 (20분부터 답안제출시 퇴실가능 - 퇴실 후 다른과목 공부 가능) ○ 시행방법: 대면시험 원칙○ 합격기준구 분시험 과목합격기준외국어시험【시험응시자】 • 영어, 독어, 불어, 중국어, 일본어 중 택1 • 외국인 학생의 경우 한국어로 선택 (한국어로 출제 및 답안 작성)100점 만점에 과목당 70점 이상【면제신청자】 • 「8. 외국어시험 면제 신청」 참조종합시험 • 석사학위과정: 전공 3과목 이상 • 박사학위과정: 전공 4과목 이상100점 만점에 과목당 70점 이상시험운영 방법: 대면시험이 원칙○ 응시자격 과정외국어 시험종합 시험비 고석사9학점 이상 취득한 자15학점 이상 취득한 자※수료생 응시 가능박사15학점 이상 취득한 자27학점 이상 취득한 자석∙박사통합9학점 이상 취득한 자45학점 이상 취득한 자○ 시험결과 확인: 2024.4.11일(금) 이후 창원대 와글 학사정보에서 확인가능○ 외국어시험 면제신청: 2025. 3. 10.(월) ~ 3. 17.(월)○ 외국어시험 면제 신청방법: 외국어시험면제 신청서 작성하여 파일제출, 해당 면제내용 증빙서류를 학과사무실 제출https://www.changwon.ac.kr/gs/cm/cntnts/cntntsView.do?mi=6219&cntntsId=1791
-
03 2025.02
<2025-1학기 전일제 등록금전액 연구 장학생 활동 중간 보고서 및 성과 실적 제출 안내>
- 제출 자료 1. 성과실적(엑셀파일로 제출)2. 증빙자료 (스캔본)- 제출 대상: 기존 장학생 283명 ※ 공지톡 명단 확인- 실적 기간: 2024. 1. 1. ~ 2025. 1. 31.- 제출 기한: 2024. 2. 6.(목)-제출방법: 와글쪽지(yundj) 혹은 공지톡(윤다정) 제출
MORE
뉴스&이슈
-
24 2024.12
국립창원대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졸업생 심규진 박사, 한동대학교 전임교수 임용
국립창원대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졸업생 심규진 박사, 한동대학교 전임교수 임용국립창원대학교 문화테크노학과는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1호 박사졸업생인 심규진 박사(지도교수 문화테크노학과 유지연)가 한동대학교 대학본부 소속 정년 전임교수로 임용됐다고 24일 밝혔다.심규진 박사는 2023년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박사과정에서 ‘창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국립창원대 SW중심대학사업단 산학협력중점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심규진 박사는 학문적 경로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경험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해왔고, 포스코인재창조원과 와디즈에서 근무한 뒤, 경남 및 김해시 산하기관에서 14년간 근무하며 다양한 콘텐츠 관련 직무를 수행해왔다. ‘창업은 일상이다(좋은땅, 2022)’ 등 총 6권의 책을 저술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했다. 국립창원대 문화테크노학과 유지연 교수는 "심규진 박사는 학문적 성과뿐 아니라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도 풍부해 콘텐츠 창업 및 융합기술 연구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로, 한동대학교에서 그 역량을 더욱 빛내리라 기대한다. 앞으로도 심규진 박사만의 전문분야에서의 활약이 기대되며, 이를 통해 국립창원대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 국립창원대 심규진 박사(왼쪽)과 지도교수인 문화테크노학과 유지연 교수.내용 문의 : 문화테크노학과055)213-3090
-
16 2023.06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석사과정 한예나 학생, 한국정보기술학회 우수논문상!
창원대학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석사과정 한예나 학생, 한국정보기술학회 우수논문상!창원대학교(총장 이호영)는 대학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한예나 학생이 ‘2023년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은 ‘AR 기술을 활용한 미술관 관람 모바일 콘텐츠 개발’로 한예나 학생이 제1 저자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공지능응용학과 오범석 교수가 공동 참여하고 창원대 문화테크노학과 유선진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 논문은 거리에 상관없이 모바일 환경에서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미술전시 관람과 소통에 대한 학제 간 융합연구 내용을 담고 있다. 제1저자인 한예나 학생은 사범계열 미술교육학 전공으로 학부 과정을 마치고 중학교 선생님으로 학생 교육 중 미술교육과 4차산업혁명 기술 융합에 관한 연구 동기로 창원대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에 진학한 후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미술교육 플랫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과정의 문화예술과 공학분야 융합연구성과로 이번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향후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문화기술 연구로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창원대 신진교원 연구지원사업과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사진: 창원대 대학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한예나 학생.내용 문의 : 문화테크노학과055)213-3090
-
13 2023.06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황성권 박사과정, 국제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창원대학교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황성권 박사과정, 국제학술대회 우수논문상!창원대학교(총장 이호영) 문화테크노학과는 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황성권 박사과정(지도교수 이상빈)이 충남대학교 경영경제 연구소에서 개최된 ‘제5회 ICIG(International Conference on IR4.0 and GVC) 2023 국제학술대회(공동주최: 한국경영경제학회)’에서 우수논문상(Distinguished Paper Award)를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창원대 황성권 박사과정은 ‘the impact of buyer-supplier asset specificity and governance structure on firm performance,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and relationship quality’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해 우수논문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붙임: 창원대 황성권 박사과정 우수논문상 수상 사진 1부. 끝. 내용 문의 : 문화테크노학과055)213-3090
-
01 2023.06
문화테크노학과 최하람 박사과정, 국제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창원대학교 문화테크노학과 최하람 박사과정, 국제학술대회 우수논문상!창원대학교(총장 이호영) 문화테크노학과는 최하람 학생(문화융합기술협동과정 박사과정, 지도교수 남상훈)이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IEEE ICBIR(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and Industrial Research) 2023 국제학술대회(공동주최: Thai-Nichi Institute of Technology, Technology Promotion Association (Thailand-Jap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sociation of Thailand)’에서 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를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최하람 학생은 ‘The Effect of the Gaze Visualization Interface on the Learning Performance of Virtual Reality Medical Education’ 논문을 통해 가상현실에서 사용자의 시선추적 및 시각화 인터페이스 기술이 의료 교육 분야의 교육 효율성에 대한 영향에 대해 발표,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창원대 문화테크노학과 남상훈 교수는 “연구 분야 경계를 제한하지 않고 자유롭게 협력하고 융합하는 교육과 연구 방식이 미래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붙임: 최하람 학생 우수 논문상 수상 사진 1부. 끝. 내용 문의 : 문화테크노학과055)213-30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