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학-정출연 연합 거버넌스 구축과 특성화과학원 대전환으로 과학기술혁신 역량강화
(1-2 국립창원대-한국전기연-한국재료연 연합모델) 연합을 통한 고급인재580명 양성, 논문 영향력지수(FWCI) 1.2달성, 특성화분야 QS아시아 랭킹 20위권 달성,방산특화 모델로 성장
(정부 정책방향) 정부는 80번 국정과제로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로 지역 주도 혁신성장 실현"을 채택하여 "과학기술 기반 지역자생력 강화로 지역혁신 선순환체계(혁신R&D수행 -> 창업·기업성장 -> 신산업·일자리 창출 -> 지역 경제성장 -> R&D재투자)완성" 추진
주요정책 : 학·연 협력플랫폼 구축,UNIST-한국화학연구원(울산분원)공동연구단 설립
(경남 과학기술 역량)창원국가산단의 생상기지는 포화상태이지만, 핵심 주력산업 및 미래 첨단 산업 육성의 중요한 역량인 과학기술혁신 역량은 미흡한 편(12위/17개 시도)-> 함께힘을 합쳐야
|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지수(R-COST Ⅱ, 2023. 06. 발표) | |||
|---|---|---|---|
| 순위 | 지역 | 점수 | 비고 |
| 1 | 경기 | 16.714 | 대기업 연구소 및 빅테크 기업 집중 |
| 2 | 서울 | 16.032 | 국내 최고 수준의 대학들 초집중 |
| 3 | 대전 | 13.148 | 국내 정부출연연구소 초집중화 지역 |
| 12 | 경남 | 5.211 | 초융합을 통한 혁신역량 집중 필요 |
(DNA+기업 동향) 초연결·초지능·초융합 고급인재 및 초격차 전략기술의 선점 경쟁 심화
* 한화시스템, 지상·공중·해양·우주 플랫폼 전체를 잇는초연결·초지능·초융합 통합 솔루션을 통해 첨단 방산을 이끌 초격차 기술 제시(서울ADEX 2023)
(필요성) 지자체·대학·정출연·기업 등의 혁신주체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지역 과학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학-정출연 연합 기반의 특성화과학원 설립이 절실히 필요
| 주체 | 사회적 요구 |
|---|---|
| 정부·지자체 |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 선순환 체계 고도화를 위한 지역 과학기술주권 확보 지원 |
| 대학 | 대학-정출연 간의 벽 허물기와 화학적 결합 강화를 통한 초연결·초지능·초융합 글로벌 인재양성 기반 강화 및 교육-연구 선순환 체계 확보로 지역 연구경쟁력 강화 |
| 정출연 | 대학과 "함께달리기"를 통한 세계적 선도모델(U&R 모델)로 지역 기여 강화 |
| 기업 | 초연결·초지능·초융합 기술 개발을 통한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로 지역산업 견인 |
경상남도는 창원국가산단 50주년(국무총리참석)을 맞이해 "창원국가산단 미래 50년" 계획수립하였으며 고도화를 위한 R&D인력 비중 목표를 설정(2024년 3.6% ->2032년 10%)
주영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정출연 R&D혁신 방향도 지역전략기술(경남:DNA+)을 중심으로 민관협력(대학-정출연-기업)을 강화해 실험실부터 사업화까지수요자 요구사항(TRL 1~9단계 전주기 수요에 부응)에 맞춰 변해야 한다"고 강조
| 세부과제 | 1차년도 (2024) |
2차년도 (2025) |
3~5차년도 (2026~2028) |
|---|---|---|---|
| 1-2. 국립창원대-한국전기연-한국재료연연합모델 | 연합 추진체계 및 글로컬 첨단과학기술 단과대학(GAST)기반 구축 | 경남창원특성화과학원(GCIST)연합 출범 및 GAST공동운영 | GCIST운영 고도화로 교육-연구기능 강화 및 GCIST 법제화(연합)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