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과제5(지역 초밀착 정주 인재양성)

HOME 추진과제 과제5(지역 초밀착 정주 인재양성)

추진목표

DNA+분야 혁신성장을 위한 초밀착 지역 정주형 고급, 기능, UGRIC인재양성 모델 구축

Seamless DNA+ 특화 인재,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의 지속 공급 체계 모델 창출
- (5-2 DNA+ Seamless 고급인재양성) DNA+ 특화 고급인재의 지속적 양성 및 공급
- (5-3 DNA+ Seamless 기능인재양성) DNA+ 산업 초현장 기능인재 양성 및 공급
- (5-4 UGRIC 인재양성 및 글로벌 셀) 지역산업 맞춤형 UGRIC 인재 양성 및 공급

추진 과제의 필요성

인력 양성의 기본방향

(특화 인재 수요)

경상남도는 국내 제조업의 중심지로, 스마트 제조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2022년 기준 스마트 제조 관련 고급 인력 수요는 약 3,000명에 달하지만, 공급은 약 1,5000명에 그쳐 50%의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2023년 고급인재 유출율은 12%로 전국 평균인 8%보다 높아 우수 인재의 유출이 지속되고 있어 지역 내 고급인재 공급 체계 구축 절실히 필요

경남 주력산업의 기능인력 수요는 2023년 기준 약 8,000명인데 실제 공급된 인력은 약 5,600명으로 30%가량 부족하여 매년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약 30,000명의 인구가 수도권으로 이동하였으며, 이 중 30%는 기능 인재로 지역산업 성장저해요인이 되고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정주형 기능인재가 필요함

(다양한 인재 수요 – 고급인재·기능인재·UGRIC 인재)

지역의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지역 내에서 혁신을 이끌어갈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하며, 유연한 교육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지역 충성도가 높은 수준의 인재 양성이 필요

창원지역 중소제조기업에서는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인력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심각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수준별 맞춤 인재 양성이 필요함 (연구, 기능, 글로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직면하여 산업적 디지털 전환(DX)에 따른 학문적 융합 인력 수요 증가와 청년인구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사회/산업 수요 맞춤형 UGRIC 융복합 인재 양성 플랫폼 필요(학문의 다양성을 충부하게 습득한 융합인재)

연차별 목표

세부과제 1차년도
(2024)
2차년도
(2025)
3~5차년도
(2026~2028)
5-2. DNA+ Seamless 고급인재양성 · 기업전문가참여교육과정개발
· URP,GRP 프로그램 구성
· 기업인재수요분석조사
· 산업현장문제해결프로그램 발굴 및 운영
· 산학협력연구기반취업연계프로그램 발굴
· 현장실습(Holve) 및 채용연계인턴십참여기업발굴 및 확대
· 혁신연구기반창업지원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생태계 조성
5-3. DNA+ Seamless 기능인재양성 · IQT기반 기능인재글로컬혁신교육 스테이션 구축
· 승강기 국제협엽과정 개발
· 포트폴리오인증제 운영
· 군협약학과 구성 및 운영
·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
· 기능명장교원 구성을 통한 Seamless교육체계 구축완료
· 유학생 유치 및 지역 정주 강화
5-4. UGRIC 인재양성 및 글로벌 셀 · 융합형교육과정 개편안 확정
· 글로컬셀50 운영안 확정
· DX융합인재양성교육 실시
· 글로컬셀50 시범사업 운영
· DX대응융합인재양성체계 구축
· 셀40사업 정착 및 확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