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
뉴스&이슈
-
국립창원대 음악과, 오페라 데뷔 40주년 기념 프리마돈나 ‘김유섬과 Amici’ 독창회 개최!
국립창원대 음악과, 오페라 데뷔 40주년 기념 프리마돈나 ‘김유섬과 Amici’ 독창회 개최!예술대학 학장 김유섬 교수, 오페라 데뷔 40년 음악 인생을 무대에 담다 국립창원대학교 예술대학 학장이자 오페라 전문 가수로 활약 중인 소프라노 김유섬 교수가 데뷔 40주년을 기념하는 독창회 「오페라 데뷔 40주년 프리마돈나 김유섬과 Amici」를 개최한다. 국립창원대 음악과는 오는 10월 31(금) 오후 7시 경남 양산시에 위치한 SPACE NAMU에서 ‘오페라 데뷔 40주년 기념 프리마돈나 김유섬과 Amici’ 독창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무대는 이탈리아 테르니 베르디 극장에서 라보엠으로 데뷔해 40년간 오페라 프리마돈나로 활약한 소프라노 김유섬 교수가 걸어온 음악 여정을 되돌아보는 무대로, 그녀가 사랑한 오페라 아리아와 한국 가곡, 이탈리아 가곡이 연주된다. 무대는 김유섬 학장의 제자이자 음악적 동반자인 소프라노 백혜정과 바리톤 나현규가 함께하며, 피아노는 심하정 교수가 맡는다. 스승과 제자가 한 무대에서 선보이는 하모니가 깊은 울림을 전할 예정이다.김유섬 학장은 부산대학교와 이탈리아 G. Rossini Conservatorio, OSIMO Accademia를 졸업하고, 라보엠으로 데뷔해 ‘동양의 진주’라 불리며 유럽 각국에서 활약했다. 마리오 델 모나코 국제콩쿠르 2회 연속 1위 등 국제무대에서 10여 차례 입상했으며, 독일 본 국립오페라극장 전속 가수로 활동했다. 국내에서도 나비부인, 토스카, 나부코, 아이다, 황진이, 고구려의 불꽃, 이중섭 등 창작오페라를 비롯한 다양한 무대에서 예술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았다.김유섬 학장은 이번 공연을 통해 “예술대학 학장으로서, 그리고 교육자이자 예술가로서 걸어온 40년의 음악 여정을 함께 돌아보는 뜻깊은 무대가 될 것입니다. 무대에 함께 서는 제자들과의 연주는 제 인생의 또 다른 감사이자 기쁨이며, 음악을 통해 관객들과 마음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라고 전했다.*사전 예약처: 055) 374-3500 ※ 사전 예약 필수*스페이스나무 (SPACE NAMU):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충렬로 1733 스페이스 나무*붙임: ‘오페라 데뷔 40주년 기념 프리마돈나 김유섬과 Amici’ 홍보 포스터 1부.내용 문의 : 음악과055)213-3900
2025.10.30 -
2025 제11회 경남페스티벌앙상블 정기연주회
제11회 경남페스티벌앙상블 정기연주회가 오는 10월28일(화) 창원성산아트홀 소극장에서 개최됩니다.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석 부탁드립니다!!*본교 재학생은 티켓 관련 혜택이 마련되어 있으니 아래의 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010-2880-8141
2025.10.24 -
2025 포항국제음악제 마스터 클래스 시리즈
2025.10.22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더보기학과공지사항
-
2025.09.25
공지[일반대학원] 2025-2학기 학위청구 논문(대체실적물 포함) 심사 계획 알림
2025-2학기 음악과 일반대학원 석사/박사과정 학위청구 논문(대체실적물 포함) 심사 일정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1) 논문(대체실적물) 심사 신청- 신청기간 : 2025. 10.13.(월) ~ 10.15.(수) 오후 6시까지 * 기한 엄수- 신청방법 [재학생] : 와글 학사정보시스템 논문심사신청(학생) → 논문명 입력 → 신청 → 저장 → 논문 심사료 납부 [수료후연구생] : 와글 학사정보시스템 논문심사신청(학생) → 논문명 입력 → 신청 → 저장 → 논문 심사료 납부※ 대체실적물 제목 : 석사과정 학위논문 대체실적물 - 최종 학위 리사이틀 작품해설서 * 영문 없음※ 논문대체인정신청서/서약서/논문대체인정심사표(인적사항 및 대체실적 내용)(서식) : 10.15.(수)까지 학과메일(music@changwon.ac.kr)※ 신청시 입력한 제목으로 최종 논문 제출되므로 신중하게 신청바람2) 논문(대체실적물) 심사료 납부- 납부기간 : 2025. 10.13.(월) ~ 10.15.(수) 오후 6시까지 * 기한 엄수- 납부방법 : 농협 848-01-018178 (예금주 : 국립창원대학교 대학원) (입금자명 : 학생이름/학번) * 논문 심사 시작 후 심사 유무와 관계없이 심사료 반환 불가- 심사비 : 석사 10만원 / 박사 30만원3) 심사용 논문(대체실적물) 제출- 제출장소 : 학과사무실- 제출형식 : A4사이즈 스프링 제본(석사 3부/박사 5부)- 제출기한 : 하단 참조( 4),5) )- 기타사항 : 심사전까지 수정사항 있을시 수정사항 반영한 논문(대체실적물)을 심사 당일 심사위원 수만큼(석사 :3부/박사 :5부)준비4) 논문심사 일정(안)/ 석사과정- 심사용 논문 제출기한 : 11월17일(월) 오후 4시까지 학과사무실 * 기한 엄수- 논문심사 : 11월19일(수) 오후 4시부터 * 세부일정 아래 표 참조 * 심사위원 교수님 모두에게 사전 검토 必5) 논문심사 일정(안)/ 박사과정- 심사용 논문 제출기한 : 11월3일(월) 오후 4시까지 학과사무실 * 기한 엄수- 1차 심사 : 11월5일(수)- 2차 심사 : 11월12일(수)- 최종(구술)심사 : 11월26일(수) * 세부일정 아래 표 참조 * 심사위원 교수님 모두에게 사전 검토 必6) 논문 제목 변경 신청- 신청기간 : 2025. 10. 23.(목) ~ 12.12.(금)까지 * 제출 논문과 시스템 등록 제목이 다를 경우 최종 제출시 반려될 수 있으니 오탈자 등 확인필- 신청방법 : 와글 학사정보 → 논문 심사 신청 → 논문 제목 변경 신청7) 완성논문 제출 * 별도 공지 예정- 제출기간 : 2026. 1. 7.(수) ~ 1. 9.(금) 17:00까지 - 제출장소 : 학과 확인후 도서관 제출 * 제출 전 학과사무실 방문하여 심사위원 날인 받을것8) 기타사항- 신청시 입력한 논문 제목 변경시 반드시 시스템에서도 제목 변경 신청할것(-12.12.까지 변경가능), 이후 정정 불가- 석사과정 학위논문 대체실적물은 학위청구 논문 심사 일정과 동일한 절차로 심사함- 대체실적물 제목 : 석사과정 학위논문 대체실적물 - 최종 학위 리사이틀 작품해설서- 심사가 종료되면 심사위원장, 심사위원 교수님 확인하여 인준서 작성 및 학과사무실 방문하여 도장 날인 받을것
-
2025.07.29
공지음악과 [음악융합공연기획 전문가 양성 MD]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신설 안내 (2025.07.29.)
-
2025.07.28
공지[학부] 2025년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동일 교과목 지정' 알림
** (~2024년) '미디실습1,2' 이수한 학생은 '음악소프트웨어연습1,2' 동일 과목으로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가능
-
2025.02.04
공지[일반대학원] 음악과 석박사통합 과정 필수 요구사항(외국인)(2025학년도 개정)
국립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과 외국인 석박사 통합과정(MM,DMA) 필수 요구사항(2025학년도 개정)1) 졸업 필수 이수 교과목(총 54학점) : 전공실기(1,2), 박사학위리사이틀(1,2,3,4), 음악가를위한외국어(1,2,3,4)(독,이,불,영) 중 택 2, 전공선택 44학점, 박사논문연구 1)-1. 석박사과정 전공필수 교과목 (10학점) 전공실기(1,2) 1x2 2학점 박사학위리사이틀 (1,2,3,4) 1 x 4 4학점 음악가를위한외국어(1,2,3,4)(독,이,불,영) 2 x 택2 4학점 박사논문연구 s/u평가 1)-2. 석박사과정 전공선택 교과목 _(44학점)공통선택교과목2학점음악가를위한한국어1음악가를위한한국어2음악가를위한한국어3음악가를위한한국어4연주실습및해설1연주실습및해설2연주실습및해설3연주실습및해설43학점음악논문연구1음악논문연구2음악논문연구3음악논문연구4음악이론리뷰1음악이론리뷰2서양음악사1서양음악사2세부전공별선택교과목(3학점)피아노피아노반주피아노연주세미나3피아노연주세미나4피아노연주세미나1피아노연주세미나2성악반주론기악반주론실내악문헌연구및세미나즉흥연주론피아노문헌1피아노문헌2고급화성학피아노페다고지성악성악문헌오페라워크샵오페라연구합창지도법독일가곡심화연구프랑스가곡심화연구영미가곡심화연구이태리오페라심화연구관현악‧지휘작곡‧음악이론관현악앙상블합창문헌연구지휘세미나관현악문헌연구오페라문헌연구오케스트라 레퍼토리연구음악분석연구음악양식론 1)-3. 지도교수 보증 자격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 _ 한국어 교양 선수과목 _ 3과목_(9학점) : 지도교수 보증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은 입학 첫 학기 학과에서 지정하는 한국어 교양 수업 3과목(9학점)을 졸업학점 24학점에 추가로 이수하는 것을 졸업 요건으로 정한다. (졸업학점 : 63학점) 이는 6)조에서 정하는 학위논문 심사자격 외국어 시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2급 자격과는 별개로 이수하여야 한다.2) 석박사 학습계획서 제출 - 석박사 학습계획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첫 학기 3월/9월 31까지 학과로 제출한다. ( * 자유서식) - 심사위원회는 전공 지도교수, 음악과 교수들로 구성된다. - 심사위원장은 당해 학기 음악과 학과장으로 선정한다. - 심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음악과 외부의 추가 교수진을 포함할 수 있다. - 석박사 학습계획의 수정/보완의 경우, 지도교수의 요청으로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3) 외국어시험 - 석박사과정 36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한하여 외국어 시험 자격이 부여된다. - 시험시기 : 매 학기 초 학사일정 및 대학원 공지사항 참고 - 시험과목 : 한국어 - 신청방법 : 국립창원대학교 포털 와글 > 학사정보 > 외국어시험신청(학생) > 응시외국어명 입력 및 저장(학생) >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 승인 > 최종승인 - 합격기준 :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 취득한 자4) 종합시험 - 박사과정 45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한하여 종합시험 자격이 부여된다. - 시험과목 : 박사 4과목 - 시험시기 : 매학기초 학사일정 및 대학원 공지사항 참고 - 신청방법 : 국립창원대학교 포털 와글 > 학사정보 > 종합시험신청(학생) > 응시과목입력 및 저장(학 생) >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 승인 > 최종승인 - 합격기준 : 과목별 100점 만점 기준 70점 이상 취득한 자5) 박사학위 리사이틀 : 모든 전공의 박사과정 학생은 실제 연주시간 45분 이상 50분 미만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한 학기에 1회, 총 4회의 박사학위 리사이틀을 심사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연주하여야 하며, 이전 학기 학위 리사이틀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그 다음 학위 리사이틀을 등록할 수 없다. 단, 박사학위리사이틀1 은 30분 미만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 총 4회의 리사이틀 중 - - 2회는 독주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연주하여야 한다. - 1회는 공인된 홀에서의 외부 연주회로 대체할 수 있다. - 1회는 렉쳐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연주하여야 하며, 이때 연주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정한다. - 심사위원 구성 : 박사학위 리사이틀 1,2,3의 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해당 전공 교수로 구성하며, 최종 학위 리사이틀은 심사위원을 최소 3명 이상 위촉하여 심사한다. 심사위원의 부득이한 사유로 실황 연주 참석이 불가할 시 영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학위리사이틀 계획서 제출 : 심사위원을 구성하여 리사이틀 일시와 장소, 프로그램, 심사위원 명단이 포함된 학위리사이틀 계획서(첨부1)를 지도교수의 최종 확인을 거쳐 정해진 연주 날짜로부터 4주전까지 학과사무실로 제출6) 박사학위 논문 : 모든 전공의 박사학위 리사이틀을 마친(예정인) 학생은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신청할 수 있다. - 논문심사자격 : ①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 통과 ② 54학점 이상 이수(예정자 포함) ③ 박사학위 리사이틀1,2,3,4 통과(학위 리사이틀4는 이수 예정자 포함) ④ 논문작성계획서 제출자 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2급 이상 - 논문작성계획서 제출 : 논문 작성 예정 학기 개강일까지(1학기 : 3월2일, 2학기 : 9월1일) 지도교수 확인받은 계획서를 학과사무실로 제출 - 논문의 분량 : 표지, 목차 등 포함하여 50페이지 이상 (참고) [석박통합과정(외국인) 학점이수구조표(예시)]교과목명(학점)1학기2학기3학기4학기5학기6학기졸업학점전공실기(1)112학위리사이틀(1)11114학위논문(s/u)00음악가를위한외국어(2)224음악인을위한한국어(2)224연주실습및해설(2)224음악논문연구(3)336음악이론리뷰(3) 또는서양음악사(3)333312전공선택(3)33333318합계99999954
-
2025.02.04
공지[일반대학원] 음악과 박사학위 (DMA) 필수 요구사항(외국인)(2025학년도 개정)
국립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과 박사학위 (DMA) 필수 요구사항(외국인)(2025학년도 개정)1) 졸업 필수 이수 교과목 ( 총 36 학점) : 박사학위리사이틀(1,2,3,4), 연주자를위한외국어(1,2,3,4)(독,이,불,영) 중 택 1, 전공선택 30학점, 박사논문연구 1)-1. 박사과정 전공필수 교과목 (6학점) 박사학위리사이틀 (1,2,3,4) 1 x 4 4학점 음악가를위한외국어(1,2,3,4)(독,이,불,영) 2 x 택1 2학점 박사논문연구 s/u평가 1)-2. 석박사과정 전공선택 교과목 _(30학점) 공통선택교과목2학점음악가를위한한국어1음악가를위한한국어2음악가를위한한국어3음악가를위한한국어4연주실습및해설1연주실습및해설2연주실습및해설3연주실습및해설43학점음악논문연구1음악논문연구2음악논문연구3음악논문연구4음악이론리뷰1음악이론리뷰2서양음악사1서양음악사2세부전공별선택교과목(3학점)피아노피아노반주피아노연주세미나3피아노연주세미나4피아노연주세미나1피아노연주세미나2성악반주론기악반주론실내악문헌연구및세미나즉흥연주론피아노문헌1피아노문헌2고급화성학피아노페다고지성악성악문헌오페라워크샵오페라연구합창지도법독일가곡심화연구프랑스가곡심화연구영미가곡심화연구이태리오페라심화연구관현악‧지휘작곡‧음악이론관현악앙상블합창문헌연구지휘세미나관현악문헌연구오페라문헌연구오케스트라 레퍼토리연구음악분석연구음악양식론 1)-3. 지도교수 보증 자격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 _ 한국어 교양 선수과목 _ 3과목_(9학점) : 지도교수 보증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은 입학 첫 학기 학과에서 지정하는 한국어 교양 수업 3과목(9학점)을 졸업학점 36학점에 추가로 이수하는 것을 졸업 요건으로 정한다. (졸업학점 : 45학점) 이는 6)조에서 정하는 학위논문 심사자격 외국어 시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2급 자격과는 별개로 이수하여야 한다.2) 박사 학습계획서 제출 - 박사 학습계획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첫 학기 3월/9월 31까지 학과사무실로 제출한다. ( * 자유서식) - 심사위원회는 전공 지도교수, 음악과 교수들로 구성된다. - 심사위원장은 당해 학기 음악과 학과장으로 선정한다. - 심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음악과 외부의 추가 교수진을 포함할 수 있다. - 박사 학습계획의 수정/보완의 경우, 지도교수의 요청으로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3) 외국어시험 - 박사과정 15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한하여 외국어 시험 자격이 부여된다. - 시험시기 : 매 학기 초 학사일정 및 대학원 공지사항 참고 - 시험과목 : 한국어 - 신청방법 : 국립창원대학교 포털 와글 > 학사정보 > 외국어시험신청(학생) > 응시외국어명 입력 및 저장(학생) >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 승인 > 최종승인 - 합격기준 :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 취득한 자4) 종합시험 - 박사과정 27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한하여 종합시험 자격이 부여된다. - 시험과목 : 박사 4과목 - 시험시기 : 매학기초 학사일정 및 대학원 공지사항 참고 - 신청방법 : 국립창원대학교 포털 와글 > 학사정보 > 종합시험신청(학생) > 응시과목입력 및 저장(학 생) >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 승인 > 최종승인 - 합격기준 : 과목별 100점 만점 기준 70점 이상 취득한 자5) 박사학위 리사이틀 : 모든 전공의 박사과정 학생은 실제 연주시간 45분 이상 50분 미만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한 학기에 1회, 총 4회의 박사학위 리사이틀을 심사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연주하여야 하며, 이전 학기 학위 리사이틀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그 다음 학위 리사이틀을 등록할 수 없다. 단, 박사학위 리사이틀1 은 30분 미만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 총 4회의 리사이틀 중 - - 2회는 독주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연주하여야 한다. - 1회는 공인된 홀에서의 외부 연주회로 대체할 수 있다. - 1회는 렉쳐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연주하여야 하며, 이때 연주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정한다. - 심사위원 구성 : 박사학위 리사이틀 1,2,3의 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해당 전공 교수로 구성하며, 최종 학위 리사이틀은 심사위원을 최소 3명 이상 위촉하여 심사한다. 심사위원의 부득이한 사유로 실황 연주 참석이 불가할 시 영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학위리사이틀 계획서 제출 : 심사위원을 구성하여 리사이틀 일시와 장소, 프로그램, 심사위원 명단이 포함된 학위리사이틀 계획서(첨부1)를 지도교수의 최종 확인을 거쳐 정해진 연주 날짜로부터 4주전까지 학과메일로 제출6) 박사학위 논문 : 모든 전공의 박사학위 리사이틀을 마친(예정인) 학생은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신청할 수 있다. - 논문심사자격 : ①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 통과 ② 36학점 이상 이수(예정자 포함) ③ 박사학위 리사이틀1,2,3,4 통과(학위 리사이틀4는 이수 예정자 포함) ④ 논문작성계획서 제출자 ⑤ 한국어 능력시험(Topik) 2급 이상 - 논문작성계획서 제출 : 논문 작성 예정 학기 개강일까지(1학기 : 3월2일, 2학기 : 9월1일) 지도교수 확인받은 학위논문 작성계획서(첨부2)를 학과메일로 제출 - 논문의 분량 : 표지, 목차 등 포함하여 50페이지 이상 (참고) [박사과정(외국인) 학점이수구조표(예시)]교과목명(학점)1학기2학기3학기4학기졸업학점학위리사이틀(1)11114학위논문(s/u)00음악가를위한외국어(2)22음악인을위한한국어(2)224연주실습및해설(2)22음악논문연구(3)336음악이론리뷰(3) 또는서양음악사(3)3339전공선택(3)3339합계999936
학과소개 동영상
-

2025학년도 국립창원대 콘서트콰이어 정기연주회2025. 6. 13.
-

제23회 국립창원대학교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2025. 5. 30.
-

2025학년도 국립창원대학교 제39회 음악과 연구발표회!2025. 4. 17.
-

2025학년도 국립창원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제45회 신입생연주회!2025. 4. 14.
-

2024학년도 국립창원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홍보영상2024. 9. 10.
-

2024학년도 국립창원대학교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협주곡의 밤2024. 6. 10.
-

창원시민과 함께하는 송년 감사 Art Festival - 국립창원대학교 예술대학 콘서트홀 개관기념콘서트2023. 11. 10.
-

2023년 국립창원대학교 음악과 제21회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2023. 10. 12.
-

2023 국립창원대학교 가온홀 개관기념 클래식 콘서트2023. 6. 8.
-

2021학년도 창원대학교 CWNU 피아노 앙상블의 밤2022. 2. 14.
-

2021학년도 창원대학교 음악과 CWNU 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2022. 1. 13.
-
![[학과 소개] 창원대학교 음악과](/images/web/music/main/music_1.png)
[학과 소개] 창원대학교 음악과2021. 11. 25.
-

피아노 전임교수 김미현2021. 4. 2.
-

피아노 전임교수 이주은2020. 10. 22.
-

2022학년도 창원대학교 음악과 CWNU 오케스트라 결과발표회2022. 10. 13.
-

2022학년도 창원대학교 음악과 제17회 협연의밤 Soprano 김하정 2022. 8. 23.
-

2022학년도 창원대학교 음악과 제17회 협연의밤 Piano 김민진 2022. 7. 25.
-

2022 창원대학교 후원의밤 2022. 7. 12.
-

2022 창원대학교 Spring Fringe 콘서트2022. 6.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