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학과공지사항

HOME 학과행정 학과공지사항
학과공지사항게시글 상세보기
[일반대학원] 음악과 박사학위 (DMA) 필수 요구사항(외국인)(2025학년도 개정)
게시자 이윤정 등록일 2025. 2. 4 16:52

국립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과 박사학위 (DMA) 필수 요구사항

(외국인)(2025학년도 개정())


1) 졸업 필수 이수 교과목 ( 36 학점)


 : 박사학위리사이틀(1,2,3,4), 연주자를위한외국어(1,2,3,4)(,,,) 중 택 1, 전공선택 30학점, 박사논문연구


 1)-1. 박사과정 전공필수 교과목 (6학점)


  박사학위리사이틀 (1,2,3,4) 1 x 4 4학점

  음악가를위한외국어(1,2,3,4)(,,,) 2 x 1 2학점

  박사논문연구 s/u평가


 1)-2. 석박사과정 전공선택 교과목 _(30학점) 


공통

선택교과목

2학점

음악가를위한

한국어1

음악가를위한

한국어2

음악가를위한

한국어3

음악가를위한

한국어4

연주실습및해설1

연주실습및해설2

연주실습및해설3

연주실습및해설4

3학점

음악논문연구1

음악논문연구2

음악논문연구3

음악논문연구4

음악이론리뷰1

음악이론리뷰2

서양음악사1

서양음악사2

세부전공별

선택교과목

(3학점)

피아노

피아노반주

피아노연주세미나3

피아노연주세미나4

피아노연주세미나1

피아노연주세미나2

성악반주론

기악반주론

실내악문헌연구및세미나

즉흥연주론

피아노문헌1

피아노문헌2

고급화성학

피아노페다고지

성악

성악문헌

오페라워크샵

오페라연구

합창지도법

독일가곡심화연구

프랑스가곡심화연구

영미가곡심화연구

이태리오페라심화연구

관현악지휘

작곡음악이론

관현악앙상블

합창문헌연구

지휘세미나

관현악문헌연구

오페라문헌연구

오케스트라 레퍼토리연구

음악분석연구

음악양식론



 1)-3. 지도교수 보증 자격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 _ 한국어 교양 선수과목 _ 3과목_(9학점)

   : 지도교수 보증으로 입학한 외국인 학생은 입학 첫 학기 학과에서 지정하는 한국어 교양 수업 3과목(9학점)을 졸업학점 36학점에 추가로 이수하는 것을 졸업 요건으로 정한다. (졸업학점 : 45학점) 이는 6)조에서 정하는 학위논문 심사자격 외국어 시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2급 자격과는 별개로 이수하여야 한다.


2) 박사 학습계획서 제출


 - 박사 학습계획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첫 학기 3/931까지 학과사무실로 제출한다.

   ( * 자유서식)

 - 심사위원회는 전공 지도교수, 음악과 교수들로 구성된다.

 - 심사위원장은 당해 학기 음악과 학과장으로 선정한다.

 - 심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음악과 외부의 추가 교수진을 포함할 수 있다.

 - 박사 학습계획의 수정/보완의 경우, 지도교수의 요청으로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외국어시험


 - 박사과정 15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한하여 외국어 시험 자격이 부여된다.

 - 시험시기 : 매 학기 초 학사일정 및 대학원 공지사항 참고

 - 시험과목 : 한국어

 - 신청방법 : 국립창원대학교 포털 와글 > 학사정보 > 외국어시험신청(학생) > 응시외국어명 입력 및 저장(학생) >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 승인 > 최종승인

 - 합격기준 :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 취득한 자


4) 종합시험


 - 박사과정 27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한하여 종합시험 자격이 부여된다.

 - 시험과목 : 박사 4과목

 - 시험시기 : 매학기초 학사일정 및 대학원 공지사항 참고

 - 신청방법 : 국립창원대학교 포털 와글 > 학사정보 > 종합시험신청(학생) > 응시과목입력 및 저장(학 생) >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 승인 > 최종승인

 - 합격기준 : 과목별 100점 만점 기준 70점 이상 취득한 자


5) 박사학위 리사이틀


 : 모든 전공의 박사과정 학생은 실제 연주시간 45분 이상 50분 미만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한 학기에 1, 4회의 박사학위 리사이틀 심사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연주하여야 하며, 이전 학기 학위 리사이틀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그 다음 학위 리사이틀을 등록할 수 없다. , 박사학위 리사이틀1 30분 미만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4회의 리사이틀 중 -

   - 2회는 독주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연주하여야 한다.

   - 1회는 공인된 홀에서의 외부 연주회로 대체할 수 있다.

   - 1회는 렉쳐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연주하여야 하며, 이때 연주시간은 30분 미만으로 정한다.


 - 심사위원 구성 : 박사학위 리사이틀 1,2,3의 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해당 전공 교수로 구성하며, 최종 학위 리사이틀은 심사위원을 최소 3명 이상 위촉하여 심사한다. 심사위원의 부득이한 사유로 실황 연주 참석이 불가할 시 영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학위리사이틀 계획서 제출 : 심사위원을 구성하여 리사이틀 일시와 장소, 프로그램, 심사위원 명단이 포함된 학위리사이틀 계획서(첨부1)를 지도교수의 최종 확인을 거쳐 정해진 연주 날짜로부터 4주전까지 학과사무실로 제출


6) 박사학위 논문

 : 모든 전공의 박사학위 리사이틀을 마친(예정인) 학생은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신청할 수 있다.

 - 논문심사자격 :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 통과 36학점 이상 이수(예정자 포함) 박사학위 리사이틀1,2,3,4 통과(학위 리사이틀4는 이수 예정자 포함) 논문작성계획서 제출자 한국어 능력시험(Topik) 2급 이상

 - 논문작성계획서 제출 : 논문 작성 예정 학기 개강일까지(1학기 : 32, 2학기 : 91) 지도교수 확인받은 계획서를 학과사무실로 제출

 - 논문의 분량 : 표지, 목차 등 포함하여 50페이지 이상



 (참고) [박사과정(외국인) 학점이수구조표(예시)]


교과목명(학점)

1학기

2학기

3학기

4학기

졸업학점

학위리사이틀(1)

1

1

1

1

4

학위논문(s/u)




0

0

음악가를위한외국어(2)




2

2

음악인을위한한국어(2)

2

2



4

연주실습및해설(2)



2


2

음악논문연구(3)



3

3

6

음악이론리뷰(3) 또는

서양음악사(3)

3

3

3


9

전공선택(3)

3

3


3

9

합계

9

9

9

9

36







학과공지사항 > [일반대학원] 음악과 박사학위 (DMA) 필수 요구사항(외국인)(2025학년도 개정)게시글 붙임자료
붙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