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초급) |
- 자기 소개, 물건 사기, 음식 주문 등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 수행
- 자기 자신, 가족, 취미 날씨 등 화제와 관련된 내용 이해 및 표현
- 800여개 기초 어휘와 기본 문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간단한 문장 생성
|
2급(초급) |
- 전화, 부탁 등 일상생활 및 우체국, 은행 등 공공시설 이용에 필요한 기능 수행
- 1,500~2,000여개 어휘 이용 및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 관련 문단 단위로 이해 및 사용
-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에서의 언어를 구분해 사용
|
3급(중급) |
- 약 400시간의 한국어 교육을 받았거나 그에 준하는 한국어 능력을 가진 학습자들이 친숙한 사회적 주제와 기능에 대한 언어구성 능력과 사용 능력을 익혀서, 기본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가능
|
4급(중급) |
- 약 600시간의 한국어 교육을 받았거나 그에 준하는 한국어 능력을 가진 학습자들이 친숙한 사회적, 추상적 주제와 기본적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익혀서 전반적인 사 회 생활이 가능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가능
|
5급(고급) |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적 영역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의사소통을 하고,자신의 전문 분야에서의 업무 수행에필요한 언어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함
- 전문적인 내용의 한국어를 잘 이해하고 발표 및 리포트 작성에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문어와 구어 학습이 긴밀히 연계
|
6급(고급) |
- 한국어 문법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복잡하고 전문적인 활동을 할 수 있음
- 한국 사회와 문화를 담고 있는 전문적인 자료를 통해 어휘를 확장하고 한국인의 사고 방식을 익힘
-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문화 이해, 일상적 주제로 이야기하기, 사회적 문제 토론하기, 그 리고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는데필요한 언어능력을 갖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