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디지털건축연구실
와글메인
창원대홈
인권센터홈
로그인
회원가입
MOBILE MENU
연구실소개
인사말
오시는길
구성원
교수
연구원
연구작업
학술논문
학술발표
저서
특허
기타
프로젝트
공지사항
갤러리
연구소개
연구실갤러리
연구소개
HOME
갤러리
연구소개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엑스)
카카오스토리
인쇄
10건
20건
30건
40건
50건
제목+내용
제목
내용
게시자
검색
전체
3
건
1
/1페이지
도시 공간분석을 위한 사회·물리적 공간 네트워크 모형 개발 -공간구문론과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빅 데이터를 중심으로
공간구문론은 물리적 공간분석을 통해 그 안에 내재된 사회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회구조가 물리적 공간구조의 통제를 받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에서 물리적 공간구조(가로망 체계)에 변화가 없어도 도시의 지역 사회구조는 짧은 기간 내에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역동적인 도시 지역 사회구조의 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 기존 상대적으로 정적인 공간구문론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기존 사회학에서의 인간이동행태 관련 연구들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Location Based Social Network)가 현대 도시인의 이동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이내믹한 도시 공간분석을 위해 정적(靜態)인 물리적 공간 네트워크와 인간의 이동패턴에서 도출된 장소와 장소의 동적(動態)인 사회적 공간 네트워크를 통합시킨 사회·물리적 공간 네트워크(Socio-Physical Spatial Network)를 제안하였다. 물리적 공간 네트워크는 지상 도로망을 기준으로 하는 지상 공간 네트워크와 지하철선로망을 기준으로 하는 지하 공간 네트워크를 통합시킨 지상·지하 공간 네트워크를 제안하였다. 사회적 공간 네트워크는 LBSN Service의 대표 기업인 Foursquare의 LBSN Big Data를 수집, 가공, 정제하여 특정 장소와 장소 사이의 실제 이동경로패턴을 도출하여 네트워크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ㆍ물리적 공간 네트워크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행정구역을 분석 대상으로 도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사회ㆍ물리적 공간 네트워크가 기존 물리적 공간 네트워크에 비해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물리적인 건축물노후도가 높은 건물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과 사회적 공간 네트워크의 영향으로 통합도가 낮아진 지역이 겹치는 지역이 도시쇠퇴지역으로 나타났고, 건축물노후도가 높은데도 통합도가 높아진 지역은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발생지역으로 나타났다.
2022. 2. 24
박근송
지상·지하 공간 네트워크 기반 공시지가 예측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도시의 지상·지하 공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신설된 지하철노선이 공시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는 공시지가 예측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런 공시지가 예측 방법론으로 수도권 GTX-A 노선이 미치는 공시지가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아래와 같다. 우선, 초기예측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2020년 기준 수도권 지상⦁지하 공간 네트워크의 통합도(공간구문론 지표)가 독립변수이고 실제 공시지가가 종속변수인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초기예측모델의 설명력은 서울시 약 0.64, 경기-인천 지역이 약 0.60으로 나타났다. 다음 1차 예측 모델에 공시지가 변동률 보정값과 지역특성 보정값을 적용하여 공시지가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공시지가 예측 모델로 GTX-A 노선 개통 후 2025년 수도권 공시지가 변동률과 변화값의 공간적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GTX-A 노선 개통 후 2025년 수도권의 지가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상승하나, 공시지가는 출발역과 종점역을 중심으로 넓은 범위에서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에서 GTX-A 노선이 통과하지 않는 송파구, 강동구 지역의 공시지가도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 2. 24
박근송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으로 인한 수도권 지역의 도시공간 네트워크적 특성 변화 연구
본 연구는 GTX-A 노선이 수도권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GTX-A 노선이 개설되면서 수도권 전 지역 범위 내에서 신설되는 역 주변 지역의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 범위와 그 강도를 도시공간 네트워크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그 공간적 범위를 GTX-A 노선이 개설되는 수도권인 서울, 경기, 인천으로 한정하였다. GTX-B 노선과 C노선으 경우 아직 그 노선이 확정되지 않았으며, 완공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A노선을 우선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세부 목적으로는 첫째, GTX-A 노선 개설 전후를 기점으로 수도권 지역의 도시공간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GTX-A 노선의 개설이 초기 GTX-A 노선 계획의 기대효과에 부합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2022. 2. 24
박근송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