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 |
---|---|
과목명 | 연계성 |
유기화학 | 유기화학 기초, 즉 계통적 유기화합물의 명영법, 물리적 화학적 성질, 중요 기능기, 기초반응 및 합성에 관해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
기초영양학 | 식생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식품이 갖는 당질, 단백질, 지방을 포함한 주요 영양소의 성질과 기능, 섭취기준, 결핍증 등에 대해서 학습하여, 균형잡힌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건강관리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생화학1 | 생명현상에 관한 것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생명체를 구성하는 생체분자들을분자 수준에서 그들의 화학적 특성과 기능을 공부한다. |
생화학2 | 생화학1의 연장으로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 등의 생체성분을 구성하는 분자의 구조, 기능, 그리고 생체 내에서 영양소의 대사와 합성 및 조절 기능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
인체생리학 | 인체 내의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 등의 생리적 기능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통해 인체 내에서의 영양소의 생리작용과 기능을 학습하고자 한다. |
생화학실험 | 생명현상에 관계되는 생체분자들을 실제 실험실 환경에서 실험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배운다. |
식품화학1 | 유기화학과 생화학의 지식을 기초로 한 식품과학의 한 분야로서 식품을 구성하는 구성성분들과 저장, 가공 중의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강의한다. |
식품화학2 | 식품화학1의 지식을 기초로 하여 식품을 구성하는 성분 상호간의 관계 및 변화, 그리고 식품의 맛, 색, 향기 성분등의 변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시키고 식품의 품질평가 능력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
향화학 | 천연 및 인공의 향기 성분의 추출, 분석 및 응용에 관한 전반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
식품미생물학 | 미생물의 역사와 일반미생물의 특성을 포함하여 식품의로서의 이용 범위, 식품미생물, 즉 곰팡이, 세균, 조류, 방사선균, 및 버섯의 형태와 생리 미생물의 생육과 변이에 관하여 공부한다. |
생애주기영양학 | 인간의 성장과 유지에 필요한 영양관리를 유아기, 아동기, 사춘기, 임신기, 수유기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노인 영양이나 운동선수의 영양관리 등 특수한 경우의 영양관리에 대하여 공부한다. |
영양화학 | 영양소들의 구조와 성질을 물리, 화학적으로 규명하고 영양소들의 생화학적 기능에 대한 기초지식을 학습함. |
고급영양학 |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영양소의 대사와 체내 기능, 영양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영양섭취기준의 이론적인산출법과 적용 능력을 함양함. |
공중보건학 |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여 지역사회의 보건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염병관리, 환경위생, 산업보건, 보건행정, 보건교육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지역사회 보건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지식의 강의한다. |
식품위생및 관계법규 |
식품원료의 재배, 생산부터 섭취 직전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요소들과 이를 감소, 관리, 제어하기 위한 방안들을 학습함으로써 미래의 식품위생관리자로서의 역할수행에 필요한 자질을 배양한다. 이를 위해 필수적인 관계법규로 식품위생법, 국민영양증진법, 축산물가공법, 학교급식법, 먹는 물 관리법 등을 다룬다. |
식품독성학개론 | 화학, 생물학, 생리학, 유전학 및 미생물학 등의 기본 개요를 중심으로 위생, 환경분야 및 영양학에 미치는 지식 부분을 습득, 식품과 환경을 통하여 유래되는 독성인자의 분류, 종류, 화학구조 및 인체에 미치는 독성에 관한 이론과 식품의 안정성에 관하여 공부한다. |
식품구매 | 구매관리 실무를 바탕으로 급식소 경영에 필요한 제반 식품구매관리이론을 습득하고 각종 구매 서식지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강의한다. |
단체급식 관리및실습 |
단체급식의 급식시설, 설계, 조리기기 취급법 등의 연구와 식품구매처리 위생 및 작업 경영사무 등 전반에 관한 전문적인 분야를 공부한다. |
다량조리실습 (캡스톤디자인) |
단체급식에서 배운 다량조리개념을 익숙해지도록 실습함으로서 보다 향상된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단순한 조리실습이 아니라 단체급식과 연계된 메뉴 작성, 구매, 조리, 배식(테이블 세팅까지 포함), 위생 등 포괄적으로 실습함으로서 단체급식이나 외식산업에서 급식을 제공하는 기술을 배양한다. |
영양사현장실습 | 국민건강과 국민영양개선을 위해 이론적 전문지식 습득과 실제로 실무 현장에서 전문인으로서 영양사 및 영양교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급식과 영양교육 현장실습의 중요성을 알고 실무능력을 기르는데 활용한다. |
영양판정및실습 | 영양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식이조사 방법론, 인체계측 방법, 임상적, 생화학적 실험을 통한 영양판정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고, 영양판정 후 영양상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건강증진을 추구하는 방법론을 습득하여 현장실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함. |
지역사회영양학 | 지역사회의 국민보건과 영양을 식량, 식문화, 국가시책, 가정 및 사회, 경제 등과 관련시켜 학습함으로써 현장실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함. |
식생활관리학 | 가정 또는 대상 집단의 건강을 위하여 식단계획, 식품구입, 저장 및 조리방법, 조리기구 시설과 관리 일체를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데 본 강좌의 목적이 있다. |
식사요법실험 |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의 원리와 그에 대한 실습을 통하여 임상영양 업무에 대한 기초를 배우고, 실생활에의 적용과 업무능력을 향상시킨다. |
식품가공및 저장학 |
식품저장법의 기초이론과 식품가공 기술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케하고 나아가 새로운 식품개발 내지 전래식품의 근대화를 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식품가공기술의 새 기초 이론을 토대로 함. |
식품분석및실험 | 식품의 일반적인 분석법의 기초 이론의 강의 및 실습을 통해 영양소에 대한 분석법의 습득을 이해하게 하고 생활하게 한다. |
조리원리및실습 | 다양한 식품 재료가 가지고 있는 성분, 조직 및 특성을 잘 파악하고, 조리 과정을 통한 식품의 영양 성분, 질감. 향미와 색 등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잘 이해하도록 한다. |
실험조리및실습 (캡스톤디자인) |
식품조리 및 개발에 관련된 원리를 공부하고 실험, 실습을 통해 일어나는 제반현상을 과학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조리의 합리성을 이해한다. |
식품품질평가 및실험 (캡스톤디자인) |
식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관능적, 기계적, 화학적 평가의 원리 및 방법을 공부하고 조별 제품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식품회사 R&D 개발과정을 습득한다. |
영양교육및 상담실습 |
영양학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및 여러 계층 또는 연령층을 대상으로 영양문제를 파악하고 문제를 수정하기 위하여 계몽, 지식전달, 의식의 전환 그리고 행동수정에 도달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과 상담을 위한 방법론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실제 식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식품미생물학 실험 (어드벤처디자인) |
일반미생물의 기본적인 분리 및 분리체계를 실험을 통하여 습득하고 나아가서는 식품에 관련된 미생물군의 실험 및 현장실습을 통하여 익힌다. |
식사요법 | 질병의 예방과 치료, 회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역할로 식사 관리가 강조되고 있는 추세로 식사요법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
영양학연구및 실험 |
식이요소가 인체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과 식이요소의 건강 기능성을 최신 연구 논문을 통해 학습하고, 세포 및 동물실험을 수행하며 영양학 연구를 위한 문제해결 능력을 습득함. |
발효학 (캡스톤디자인) |
발효미생물의 생태, 미생물과 효소, 맥주의 발효, 약탁주의 발효, 아미노산 발효, 핵산 발효, 균체의 생산, 효소의 생산과 이용,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 등을 다룬다. |
임상영양학 | 영양과 질병과의 상호관계를 전반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 병리학과 영양학을 이용하여 특수한 질병 상태를 유발하는 인과관계를 이해하며, 건강과 영양상태를 정상으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의학적 치료법과 영양치료법을 다룬다. |
급식경영학 | 급식 경영인으로서 반드시 익혀야 할 경영학과 급식경영의 기본 이론을 습득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보다 폭넓은 사고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향후 급식소를 경영하는 인재로 성장하게 한다. |
식품화학실험 | 식품 재료가 가지고 있는 성분 및 식품학적 변화를 이해하고 식품회사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분석실험을 습득한다. 영어강좌로 진행하여 학생들의 국제화 능력을 향상시킨다. |
◉: 연계성 높음, 〇: 연계성 적음, 공란: 연계성 없음
학과전공능력대학 핵심역량 | 학과전공 능력① | 학과전공 능력② | 학과전공 능력③ | 학과전공 능력④ | 학과전공 능력⑤ | 학과전공 능력⑥ | 학과전공 능력 |
---|---|---|---|---|---|---|---|
지역형 리더 역량 | ◉ | ◉ | ◉ | ◉ | ◉ | ◉ | 〇 |
창의적사고 역량 | ◉ | ◉ | ◉ | ◉ | ◉ | ◉ | ◉ |
실용적융복합 역량 | ◉ | ◉ | ◉ | ◉ | ◉ | ◉ | 〇 |
의사소통 역량 | 〇 | ◉ | ◉ | ◉ | ◉ | ◉ | 〇 |
글로벌 역량 | ◉ | 〇 | 〇 | ◉ | ◉ | ◉ | ◉ |
① 기초지식 및 분석 능력 ② 현장실무 능력 ③ 문제해결 능력 ④ 협동 능력 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⑥ 변혁적 리더십 능력 ⑦ 국제화 능력
구 분 | 학수번호 | 과 목 명(영문명) | 학점 (학점-강의-실기) | 학년 학기 | 교과목별 전공능력 반영율 | 연관된 항목수 | |||||||
---|---|---|---|---|---|---|---|---|---|---|---|---|---|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 ⑦ | 합계 | ||||||
선택 | FNA0004 |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 | 3-3-0 | 1-1 | 100 | 100 | 1 | ||||||
FNA0003 | 기초영양학(Basic Nutrition) | 3-3-0 | 1-2 | 100 | 100 | 1 | |||||||
FNA0001 | 생화학1(Biochemistry1) | 3-3-0 | 2-1 | 100 | 100 | 1 | |||||||
FNA0109 | ※조리원리및실습(어드벤처디자인)[Principles of Food Preparation&Lab(Adventure Design)] | 3-2-2 | 2-1 | 20 | 50 | 10 | 10 | 10 | 100 | 5 | |||
FNA0108 | 식품분석및실험(어드벤처디자인)[Food Analysis & Lab(Adventure Design)] | 3-2-2 | 2-1 | 50 | 10 | 10 | 30 | 100 | 4 | ||||
FNA0006 | 인체생리학(Human Physiology) | 3-3-0 | 2-1 | 100 | 100 | 1 | |||||||
FNA0018 | 식품구매(Food Purchasing) | 2-2-0 | 2-1 | 30 | 30 | 10 | 20 | 10 | 100 | 5 | |||
FNA0007 | 영양화학(Nutritional Biochemistry) | 3-3-0 | 2-2 | 90 | 10 | 100 | 2 | ||||||
FNA0110 | ※식품화학1(어드벤처디자인)[Food Chemistry1(Adventure Design)] | 3-3-0 | 2-2 | 90 | 10 | 100 | 2 | ||||||
FNA0009 | 생화학2(Biochemistry2) | 3-3-0 | 2-2 | 100 | 100 | 1 | |||||||
FNA0107 | 식품미생물학(어드벤처디자인)[Food Microbiology(Adventure Design)] | 3-3-0 | 2-2 | 100 | 100 | 1 | |||||||
FNA0073 | 생화학실험(Biochemistry Lab) | 2-0-4 | 2-2 | 50 | 10 | 10 | 30 | 100 | 4 | ||||
FNA0025 |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 3-3-0 | 2-2 | 30 | 20 | 10 | 10 | 20 | 10 | 100 | 6 | ||
FNA0099 | 식품미생물학실험(어드벤처디자인)[Food Microbiology Lab(Adventure Design)] | 1-0-2 | 2-2 | 50 | 10 | 10 | 30 | 100 | 4 | ||||
FNA0116 | 식품화학실험(캡스톤디자인)[Food Chemistry Experiment(Capstone Design)] | 3-2-2 | 3-1 | 50 | 10 | 10 | 30 | 100 | 4 | ||||
FNA0105 | 식품화학2(캡스톤디자인)[Food Chemistry2(Capstone Design)] | 3-3-0 | 3-1 | 90 | 10 | 100 | 2 | ||||||
FNA0016 | 고급영양학(Advanced Nutrition) | 3-3-0 | 3-1 | 90 | 10 | 100 | 2 | ||||||
FNA0089 | 실험조리및실습(캡스톤디자인)[Experimental Cooking and Lab(Capstone Design)] | 3-2-2 | 3-2 | 20 | 50 | 10 | 10 | 10 | 100 | 5 | |||
FNA0033 | 급식경영학(Food Service Administration) | 3-3-0 | 3-1 | 20 | 20 | 10 | 10 | 20 | 20 | 100 | 6 | ||
FNA0106 | 식품가공및저장학(캡스톤디자인)[Food Processing&Preservation(Capstone Design)] | 3-3-0 | 3-1 | 70 | 30 | 100 | 2 | ||||||
FNA0115 | 식생활관리학(어드벤처디자인)[Dietary Life Management(Capstone Design)] | 3-3-0 | 2-1 | 10 | 30 | 20 | 10 | 30 | 100 | 5 | |||
FNA0086 | 식품위생및관계법규(Food Sanitation &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 3-3-0 | 3-1 | 30 | 30 | 20 | 10 | 10 | 100 | 5 | |||
FNA0100 | 발효학(캡스톤디자인)[Fermentation Science(Capstone Design)] | 3-3-0 | 3-2 | 70 | 30 | 100 | 2 | ||||||
FNA0112 | ※식사요법(캡스톤디자인)[Diet Therapy(Capstone Design)] | 3-3-0 | 3-2 | 10 | 30 | 20 | 10 | 30 | 100 | 5 | |||
FNA0104 | 식사요법실험(캡스톤디자인)[Diet Therapy Practice(Capstone Design)] | 2-1-2 | 3-2 | 10 | 40 | 10 | 10 | 30 | 100 | 5 | |||
FNA0101 | 영양학연구및실험(캡스톤디자인)[Nutritional Research Method & Lab(Capstone Design)] | 3-2-2 | 3-2 | 50 | 10 | 10 | 10 | 20 | 100 | 5 | |||
FNA0103 | 단체급식관리및실습(캡스톤디자인)[Quantitative Food Service&Lab(Capstone Design)] | 3-2-2 | 4-1 | 20 | 50 | 10 | 10 | 10 | 100 | 5 | |||
FNA0085 | 영양사현장실습(Dietetic Pracitice) | 2-0-2주 | 4-계절 | 60 | 10 | 10 | 10 | 10 | 100 | 5 | |||
FNA0082 | 생애주기영양학(Nutrition in Life Cycle) | 3-3-0 | 4-1 | 10 | 10 | 10 | 20 | 30 | 10 | 10 | 100 | 7 | |
FNA0083 | 영양교육및상담실습(캡스톤디자인)[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Capstone Design)] | 3-2-2 | 4-1 | 20 | 10 | 10 | 40 | 10 | 10 | 100 | 6 | ||
FNA0077 | 영양판정및실습(Nutritional Assessment & Practice) | 3-2-2 | 4-1 | 30 | 20 | 10 | 10 | 30 | 100 | 5 | |||
FNA0078 | 향화학(Flavor Chemistry) | 3-3-0 | 4-1 | 100 | 1 | ||||||||
FNA0088 | 다량조리실습(캡스톤디자인)[Quantity Food Production(Capstone Design)] | 2-1-2 | 4-2 | 40 | 40 | 10 | 10 | 100 | 4 | ||||
FNA0084 | 식품독성학개론(Food Toxicology) | 3-3-0 | 4-2 | 100 | 100 | 1 | |||||||
FNA0081 | 식품품질평가및실험(캡스톤디자인)[Food Quality Evaluation and Experiment(Capstone Design)] | 3-2-2 | 4-1 | 40 | 50 | 10 | 100 | 3 | |||||
FNA0114 | 임상영양학(캡스톤디자인)[Clinical Nutrition(Capstone Design)] | 3-3-0 | 4-2 | 20 | 20 | 10 | 10 | 20 | 10 | 10 | 100 | 7 | |
FNA0092 | 지역사회영양학(Community Nutrition) | 3-3-0 | 4-2 | 60 | 30 | 10 | 100 | 3 | |||||
FNA0096 | 캡스톤디자인Ⅰ(Capstone DesignⅠ) | 0 | 4-1,2 | 50 | 30 | 20 | 100 | 3 | |||||
FNA0097 | 캡스톤디자인Ⅱ(Capstone DesignⅡ) | 0 | 4-1,2 | 50 | 30 | 20 | 100 | 3 | |||||
필수 | FNA0037 | 졸업논문(Graduation Thesis) | 0 | 4-1,2 | 100 | 100 | 1 | ||||||
계 | 41과목 | 107(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