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와글메인
국립창원대학교
입학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MOBILE MENU
학과소개
학과장인사말
학과소개
졸업생 직업소개
학과연혁
학과 비전 및 전공가치체계
졸업후 진로
학과 관련 자격증 안내
찾아오시는길
실험실소개
단체급식실험실
영양생화학실험실
인체영양연구실
식품화학실험실
식품미생물및가공학실험실
교수소개
전임교수
명예교수
학사안내
학사일정
영양사 전공능력
학습성과
교육과정
학부 교과목 개요
졸업인증
학과행정
학과공지사항
묻고답하기
각종서식
게시판
뉴스&이슈
학술제
자료실
취업정보게시판
포토앨범
관련사이트
동문소식
졸업생게시판
뉴스&이슈
HOME
게시판
뉴스&이슈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엑스)
카카오스토리
인쇄
10건
20건
30건
40건
50건
제목+내용
제목
내용
게시자
검색
전체
36
건
1
/4페이지
2024년도 한국영양학회 주최 'CAN-Pro 6.0 사용법 및 활용' 동영상 공모전 입상
2024년도 한국영양학회에서 주최한 'CAN-Pro 6.0 사용법 및 활용' 동영상 공모전에서 '어떤 집으로 태어날지 정해요'라는 주제로 동영상을 제작해 장려상을 입상하였다.
2024. 11. 22
박수정
2024 국립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초청세미나 개최
2024 국립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초청세미나 개최국립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생활과학연구소 초청세미나가 아래와 같이 개최됩니다.온, 오프라인으로 3회차에 걸쳐 진행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1. The emerging role of CSN6 in cancer metabolism- 연자: 최현호 교수 (Th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Houston)- 일시 및 장소: 24.11.25 (월) 16:00-17:00, 34107호2. 푸드테크와 정밀영양- 연자: 윤지현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일시 및 장소: 24.11.29 (금) 15:30-16:30, 34107호3. Translational Research: Bridging the Research-Practice Gap- 연자: 송희정 교수 (University of Marlyland-College Park)- 일시 및 장소: 24.12.11 (수) 온라인 ZOOM ID: 820 563 4921
2024. 11. 21
박수정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영양사교육과정평가·인증’ 획득 (평가 영역 모두 최고등급 ‘우수’ 획득)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영양사교육과정평가·인증’ 획득 (평가 영역 모두 최고등급 ‘우수’ 획득)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는 영양사교육 수준의 전문성 향상과 관리를 위해 대학의 영양사 교육과정, 환경, 교육의 질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하는 (재)한국영양교육평가원의 ‘2024년 영양사교육과정평가·인증’을 획득하여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최근 3년간 우수 성과를 바탕으로 6개의 평가영역(비전 및 운영체계, 교육과정, 학생, 교수, 시설 및 자원, 교육성과)에서 모두 ‘우수’ 평가를 받고 4년 인증 기간(2025년 3월부터 2029년 2월까지)을 획득하였다.식품영양학과는 4차 산업 시대의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과 건강 증진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 건강 및 식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 양성’으로 학과의 비전을 설정하고 ‘전문성과 현장실무 융·복합 역량를 갖춘 리더형 영양사 양성’으로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관련 교육과정을 연계하고 내실화를 위해 대학 본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이론교육 및 현장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번 영양사교육과정평가·인증 위원장 임정은 교수는 “우리 학과는 영양사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고 전문성과 현장실무 융복합역량을 갖춘 리더형 영양사를 양성하기 위해 학교와 교수진 그리고 학생들 모두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식품영양학과장 김지미 교수는 “이번 평가·인증을 통해 영양사 직무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과 구성원의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직무 능력에 부합 할 수 있는 다양한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 10. 21
박수정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실 학생들 국제학술대회 대거 수상
국립창원대학교(총장 박민원)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실은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주최 ‘KoSFoP 45th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에서 학부 캡스톤 장려상 1건, 대학원 구두발표 경진대회 장려상 1건, 우수 논문상 2건 등을 수상사진>했다고 5일 밝혔다.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는 ’Upcycling of persimmon waste: a low-calorie sugar substitute for and characterization of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라는 주제로 최민지, 김의진, 전보영, 황혜수, 김현욱, 차수진, 김연희 학생으로 구성된 팀이 한 학기 동안 식품화학실험실(지도교수 김미정)에서 진행한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를 발표해 장려상을 수상했다. 이희정 석사 학생은 졸업논문 주제인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laska pollock skin collagen hydrolysate extracted using kombucha and microbe”를 대학원 구두발표 대회에 참가하여 장여상을 수상하였으며, 그 외에 작물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하여 천연성분의 체내 전달 향상에 대한 연구(박사후 연구원 Thinzar Aung), 딥러닝 기반 밀키트 소비자 선호도 연구(석사과정 김의진) 결과를 발표하여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창원대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는 “이번 성과를 통해 학생들이 더 큰 자신감을 가지고 미래 식품 산업의 리더로 성장하길 바라며, 앞으로도 식품영양학과의 우수한 연구 역량과 비전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2024. 9. 5
박수정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영양사 국가고시 100% 합격!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영양사 국가고시 100% 합격!국립창원대학교(총장 직무대리 어윤) 식품영양학과는 제47회 영양사 국가고시에 재학·졸업생 응시자 14명 전원이 최종 합격했다고 25일 밝혔다. 보건의료인 영양사 국가고시는 다른 보건계열 국가고시와 비교하면 합격률이 저조하고, 올해 전국 평균 합격률은 72.5%였다. 전국적으로 합격률 100%인 대학은 드물다는 것이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유대웅 학과장의 설명이다.영양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학생들은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영양사 면허증을 취득해 ▲급식관리 영양사 ▲초·중등 영양 교사 ▲임상영양사 ▲식품산업 분야 영양사 ▲연구직 영양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식품영양 분야 전문인으로서 핵심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유대웅 학과장은 “2024학년도는 더욱더 우수한 교육을 통해 우수 영양사 교육의 선도 학과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붙임: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제47회 영양사 국가고시 100% 합격 포스터 1부. 끝. 내용 문의 :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055)213-3510
2024. 1. 25
황상원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국제 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국제 저명학술지 논문 게재국립창원대학교(총장 직무대리 어윤)는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팀의 논문이 식품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IF: 15.3, 2/142, 식품 분야 상위 1.4%)’ 2024년 1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이 논문에서는 콤푸차(kombucha) 발효 시 생성되는 생물막(biofilms)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식품 분야에서의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에 대한 잠재성을 조사했다.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Thinzar Aung 박사(제1 저자), 김미정 교수(교신 저자)가 논문 저자로 참여했다.*붙임: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팀의 논문 표지 및 저자 사진(왼쪽부터 김미정 교수, Thinzar Aung 박사).내용 문의 : 식품영양학과055)213-3510
2024. 1. 16
권기태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트랙 대학원생들,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우수상!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트랙 대학원생들,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우수상!국립창원대학교(총장 직무대리 어윤) 4단계 BK21 뉴시니어 스마트라이프 혁신인재양성 교육단은 식품영양트랙 대학원생인 김경태, 차은송, 문승민(지도교수 유대웅), 나얍, 박세원(지도교수 김미정) 학생이 ‘2023년 KFN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의 포스터 경진대회에서 관련 연구결과물들을 발표해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국제학술대회는 ‘Sustainable Food System for a Healthy & Value-Oriented Life’라는 주제로 3명의 기조강연, 12명의 국내외 연자로 이루어진 3개의 국제 세션, 학술대상 수상 강연, 일본영양식량학회와의 공동심포지엄 세션, 4개의 학술분과 세션, 37개의 일반세션, 10명의 신진과학자 특별강연, 33명의 대학원생 구두발표, 12개 팀이 참가한 제품개발경진대회를 포함한 총 53개의 세션으로 구성돼 학술대회 기간 총 2500여 명이 참석하고, 909편의 포스터발표, 42개 기관 총 68개의 전시부스로 구성된 식품산업전시회 등 3일 동안 진행된 명실공히 식품 및 영양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대회이다.한편 국립창원대 4단계 BK21 뉴시니어 스마트라이프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의 시니어휴먼에콜로지 협동과정(단장 김미정)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사회에 대비해 인간생활의 기본인 의식주 융합형 글로벌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의류학, 식품영양학, 건축학(Smart Fashion, Healthy Foods, Eco-Friendly Houses)의 다학제 학문적 연구·교육으로 시니어 웰라이프 및 스마트 라이프와 연계한 고령사회문제 해결, 미래 신산업의 발전 등에 기여할 전망이다.*사진: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트랙 대학원생 김경태, 차은송, 문승민, 나얍, 박세원 학생이 ‘2023년 KFN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의 포스터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내용 문의 : 뉴시니어스마트라이프혁신인재양성교육연구단055)213-2935
2023. 11. 23
권기태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영양전공, 10주년 기념 세미나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영양전공, 10주년 기념 세미나창원대학교(총장 이호영) 식품영양학과는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영양전공 10주년 기념 세미나 및 네트워킹데이’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한국임상영양학회 차기 회장인 주달래 서울보라매병원 영양실장을 강사로 초청해 ‘임상영양사의 역할 및 임상영양사의 역량 키우기’라는 주제의 세미나가 진행됐다.또한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을 졸업한 임상영양사와 영양관리 공무원, 대기업 병원영양사, 영양교사 등 각 분야의 임상영양 전문가와 대학원 재학생, 임상영양 전공에 관심 있는 학부 학생 등이 참석해 소통과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은 국민영양관리법 제23조에 의거해 2012년 임상영양사 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 임상영양사 국가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표준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임상영양 관련 전문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으며, 강남세브란스병원, 분당차병원, 창원파티마병원 등의 의료기관 현장에서 임상영양사 실무와 연계되는 업무적 전문 능력을 갖출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육 과정을 통해 지역주민과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있는 임상영양 전공자를 배출하고 있다.한편 2024년도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영양전공 신입생 모집기간은 오는 10월 23일부터 30일까지이며, 임상영양사로서 지역사회에 이바지하길 희망하는 학생들의 관심과 지원을 기다리고 있다.창원대 보건대학원 임정은 임상영양전공 주임교수는 “지난 10년 간 건강인 및 환자의 영양 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최적의 영양지원을 제공해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 임상영양사를 배출하기 위해 힘 써왔다”며 “지속적으로 우수한 지역인재를 양성함으로써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사진: 창원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영양전공 10주년 기념 세미나 및 네트워킹데이 사진. 끝.내용 문의 :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055)213-3510
2023. 10. 18
황상원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생들, 아이디어공모전 수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생들, 아이디어공모전 수상창원대학교(총장 이호영) 식품영양학과는 한국수산과학회 학술대회 ‘학부생을 위한 수산과학 아이디어 경진대회’ 구두발표에서 4개 팀이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경진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창원대 식품영양학과 1학년 학생들로, 유기화학(담당교수 김미정) 수업시간에 팀프로젝트 과제 결과물을 식품화학실험실 대학원생들과 멘토-멘티 형식으로 경진대회 성격에 맞게 재구성해 발표했다. ‘Star(곽현영, 박예은, 오유찬, 이다영, 정성빈)’ 팀은 불가사리를 활용한 콜라겐 피부 미용 제품, ‘Gum(김보민, 류다연, 화선우)’ 팀은 거대해조류와 어골을 이용해 업사이클 식품을 만들기, ‘Better-re(양정호, 심은주, 신은경, 이윤서, 정수인)’ 팀은 수산식품을 이용한 전투식량, ‘Re-view(김소희, 박예은, 이주영, 이태영)’ 팀은은 Shim(p) 필름이라는 주제로 각각 구두발표해 입상의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창원대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는 “유기화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려운 과목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유기물이 어떻게 식품에 활용되고 적용되는지 스스로 탐구하게 되어 전공에 대한 흥미를 끌 수 있는 기회였다”며 “외부 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얻어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잠재력과 무한한 가능성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강조했다. *사진: 한국수산과학회 학술대회 ‘학부생을 위한 수산과학 아이디어 경진대회’ 구두발표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창원대 식품영양학과 학생들.내용 문의 :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055)213-3510
2023. 9. 27
황상원
창원대학교, 미국 조지아주립대 및 어번대 ‘공동 연구개발’ 국제협정
창원대학교, 미국 조지아주립대 및 어번대 ‘공동 연구개발’ 국제협정창원대학교(총장 이호영) BK21 뉴시니어스마트라이프(단장 김미정 교수, 이하 “시니어휴먼에콜로지협동과정”)은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의 ‘Food Chemistry Lab’, 어번대학교(Auburn University)의 ‘Sensory and Consumer Research Lab’과 공동 연구개발 수행을 위한 국제교류협정(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조지아주립대 서준혁 교수가 이끄는 ‘Food Chemistry Lab’은 식품의 다양한 대사체와 관련한 분야를 연구 중이며, 어번대 조성은 교수의 ‘Sensory and Consumer Research Lab’은 미국 내 다양한 기업들과 연계해 제품개발 및 관능검사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하계방학 기간 약 2달간 창원대 BK21 뉴시니어스마트라이프연구단의 식품영양트랙 대학원생 2명은 어번대 조성은 교수의 ‘Sensory and Consumer Research Lab’을 방문해 공동연구를 수행했다. 창원대 BK21 뉴시니어스마트라이프 단장 김미정 교수는 이달 초 9월 어번대와 조지아주립대를 차례로 방문해 향후 공동연구에 대한 계획과 학생교류 등에 대해 논의하고 왔다. 한편 창원대 4단계 BK21 뉴시니어 스마트라이프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의 시니어휴먼에콜로지 협동과정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사회에 대비해 인간생활의 기본인 의식주 융합형 글로벌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의류학, 식품영양학, 건축학(Smart Fashion, Healthy Foods, Eco-Friendly Houses)의 다학제 학문적 연구·교육으로 시니어 웰라이프 및 스마트 라이프와 연계한 고령사회문제 해결, 미래 신산업의 발전 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붙임: 창원대와 미국 조지아주립대 및 어번대의 국제교류협정 사진 각 1부. 끝.내용 문의 : 뉴시니어스마트라이프혁신인재양성교육연구단055)213-2935
2023. 9. 21
황상원
<
1
2
3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