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원대 이승화 교수팀, 그린수소 생산 ‘니켈-철 셀레늄계 전극’ 개발 성공!제1저자 장영은 석사과정생 연구 주도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국립창원대학교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승화 교수팀은 17일 친환경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니켈-철 셀레늄계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승화 교수팀은 현재 친환경 수소생산을 위한 전기화학적 물 분해 전극 촉매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기화학적 물 분해(수전해) 방식은 수소 생산 과정 중 오염물 배출이 없기 때문에 ‘그린 수소’라고 불리며, 미래 수소 경제 사회의 핵심 요소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산소 발생 반응은 수전해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반응으로, 고활성 촉매 개발이 필수적이며, 특히 Ni 기반 Se 화합물은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넓은 반응 면적으로 주목받아 왔으나 반응 중 Se의 용출과 재배열 현상이 촉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이승화 교수팀의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라만 분광(in-situ Raman spectroscopy) 분석을 통해 Se–Se 결합 신호와 Fe³⁺ 도입에 따른 격자 변화, 그리고 γ-NiOOH 상 전환을 정밀 관찰하였다. 그 결과, Se가 단순히 용출되는 것이 아니라 계면에서 잔존·재흡착되며 활성 산소종(active oxygen species)을 크게 강화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본 연구는 전기화학반응 과정 중 Se가 전극 층에 잔존 하게 되면서 산소 발생 반응 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 계면 반응 분석 실험과 함께 처음으로 입증한 결과이고, 이 효과는 전극 스케일-업 및 단일전지(Single-cell) 평가에서도 우수한 성능으로 확인됐다(전류밀도: 1 A/cm2, 약 360시간 운전). 국립창원대 이승화 교수 연구실에서는 ‘in situ 분석 기법’ 기반의 수전해 촉매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장영은 석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하여 국제저명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IF: 13.2, 화학공학분야 JCR 상위 4.3%)’에 게재됐다(제목: ‘Residual Selenium in Electrochemically Selenized Nickel-Iron Electrodes Enables Highly Active and Durable Alkaline Water Electrolysis’).한편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기본연구와 국립창원대 ‘강사-대학원생-교원 간 융합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사진1(위). 국립창원대 이승화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의 활성화 과정 이미지 사진.*사진2. 국립창원대 이승화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의 수전해 싱글 셀 장기 성능 평가 결과 사진. 끝. 내용 문의 : 에너지화학공학과055)213-3751
2025-09-17국립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 윤성모 학생, 국방과학연구소 최종 합격!국방 분야 최고 연구소에 인재 배출하며 교육·연구 경쟁력 입증 국립창원대학교는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 졸업생 윤성모 학생(지도교수 오택현)이 국방과학연구소(ADD)의 ‘2025년 하반기 정규직 공개채용’에 최종 합격했다고 15일 밝혔다. 국방과학연구소는 ‘나라를 지키는 연구소’라는 비전 아래 첨단 국방과학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국내 최고 수준이자 최대 규모의 국가 연구소이다. 윤성모 학생은 국립창원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학사학위(2023년 2월)를,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에서 석사학위(2025년 2월)를 취득했다. 재학 기간 동안 우주항공 분야용 동력 및 추진시스템 연구를 수행하여 논문 5편 게재와 4건의 수상 실적을 거두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이뤄냈다. 이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단에서 연구인턴으로 근무하며 연료전지시스템 연구를 수행했으며, 앞으로 윤성모 학생은 국방과학연구소 대전 본원에서 항공무기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립창원대학교 우주항공공학부는 오택현 교수는 ”우리 대학은 글로컬대학사업을 통해 ‘창원국가산단 미래 50년 K-방산‧원전‧스마트제조 연구중심대학’의 비전을 달성하고자 한다.“며, ”이번 합격은 우리 대학 졸업생이 국방 분야 최고 수준의 연구소에서 역량을 인정받은 것으로, 대학의 교육·연구 체계가 매우 우수한 수준임을 입증한 것이다. 앞으로도 더 많은 인재가 국방 분야의 기업과 연구소로 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오택현 교수는 2017년부터 ‘친환경 동력 및 추진연구실’을 운영하며, 주로 우주항공 분야용 동력 및 추진시스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해당 연구실 졸업생들은 현재 국방과학연구소, 현대위아, 한국자동차연구원 등에서 연구활동을 이어가고 있다.*사진: 국립창원대 윤성모 학생(왼쪽)과 오택현 교수.내용 문의 :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055)213-2874
2025-09-15국립창원대 G-램프(LAMP)사업단 기계공학부 윤태영 교수 연구팀 고성능 전고체 슈퍼캐퍼시터 연구 국제저명학술지 ‘Small’ 게재!"코어-쉘 구조 혁신, 차세대 슈퍼캐패시터의 미래를 열다"국립창원대학교 기계공학부 윤태영 교수(공동교신저자)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인 전고체 슈퍼캐패시터(All-Solid-State Supercapacitor,)의 성능 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그 성과를 국제저명학술지 ‘Small(IF: 12.1, JCR 상위 7.2%)’에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https://doi.org/10.1002/smll.202508090). 이번 연구에는 국립창원대 기계공학부 학부생 2명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연세대학교 연구팀은 구리 폼 위에 1차원(1D) 코어–쉘 구조의 Cu₃P@NiCo₂O₄ 전극을 합성하고 슈퍼캐패시터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국립창원대 연구팀은 전산역학·계산화학 기법을 활용해 전극 성능 향상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특히 계면에서의 전자 재구성(interfacial electronic reconstruction)이 전자 전달과 OH⁻ 흡착을 촉진하고 활성 사이트를 증가시켜 전기화학적 반응성과 장기 안정성을 동시에 높인다는 사실을 원자 수준에서 규명하였다.실험 결과, 개발된 전극은 604.8 C g⁻¹(1 A g⁻¹)의 높은 정전용량을 보였으며, 2만 회 충·방전 이후에도 88.2%의 용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제작된 전고체 슈퍼캐패시터 소자는 100.8 F g⁻¹(1 A g⁻¹)의 정전용량과 31.5 Wh kg⁻¹의 에너지 밀도를 달성했으며, 5천 회 사이클 후에도 97.6%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등 우수한 내구성을 입증했다. 이 성능은 기존에 보고된 다수의 전극 시스템(Cu₃P/C-6%Ni//AC: 15.2 Wh kg⁻¹, Co₃O₄/NiCo₂O₄//AC: 22 Wh kg⁻¹, NiP/CoP@NF//AC@NF: 27.7 Wh kg⁻¹ 등)보다 뛰어난 수치로, 본 연구의 소자가 현재까지 보고된 최고 수준의 성능임을 보여준다.본 연구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한 국립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4학년 임송희 학생은 “교수님의 지도 덕분에 큰 성과를 경험할 수 있었고, 제가 직접 기여했다는 점이 자랑스럽다. 앞으로도 더 열심히 공부해서 연구에 보탬이 되고 싶다”고 했으며, 기계공학전공 4학년 염준빈 학생은 “학부생 신분으로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다. 전공인 전산 해석을 활용해 시뮬레이션 결과가 실제 실험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며, 이론과 실제를 잇는 융합 연구의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좋은 기회를 주신 교수님과 연구팀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국립창원대 윤태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실험과 전산모사를 긴밀히 결합해 성능 향상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밝힌 성과”라며 “특히 학부생들이 직접 참여해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창원대 G-LAMP사업단(단장 박종규, C-세부책임자 정대운, 연구소장 곽진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팀은 앞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소재개발 DX전환을 위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그림 1(위). 연구 개략도 및 참여 연구원(국립창원대 임송희, 염준빈 학부연구생, 윤태영 교수)*그림 2. 국립창원대 윤태영 교수 연구팀의 전산역학/계산화학 기반 슈퍼캐퍼시터 성능 향상 메커니즘 분석 결과.내용 문의 : 기계공학부055)213-3603
2025-09-15국립창원대 메타융합콘텐츠학부, 경진고등학교 디지털영상콘텐츠학과와 MOU 체결지역 인재 양성과 미래형 콘텐츠 교육 협력 본격화국립창원대학교 메타융합콘텐츠학부는 국립창원대 종합교육관(85호관) 203호 회의실에서 경진고등학교 디지털영상콘텐츠학과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행사에는 경진고등학교 교장과 교감 등 학교 관계자, 국립창원대 메타융합콘텐츠학부장과 주임교수,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 학생부처장 등 양 기관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디지털 콘텐츠 분야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교육과정 및 콘텐츠 공동 개발 ▲학생 진로 탐색 및 대학 진학·취업 지원 ▲특강·체험학습 등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공동 홍보 및 이미지 제고 등 실질적 협력을 추진한다. 특히 고교 단계에서부터 대학 수준의 콘텐츠 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 학문적·실무적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메타융합콘텐츠학부장은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지역 고등학생들이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대학 진학 후에도 경쟁력 있는 인재로 성장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경진고와 함께 고교-대학 연계 교육 모델을 선도적으로 구축해 지역과 산업이 필요로 하는 창의적 융합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말했다.협약식 이후 양 기관은 교류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며 협력 방향을 구체화했으며, 협약서 서명과 기념 촬영을 통해 상호 협력 의지를 확인했다.*사진: 국립창원대 메타융합콘텐츠학부와 경진고등학교 디지털영상콘텐츠학과가 국립창원대 종합교육관(85호관)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내용 문의 : 메타융합콘텐츠학부055)213-3090
2025-09-082026학년도 모집단위 개편사항 안내드립니다.내용2025학년도2026학년도모집단위 개편증원> 컴퓨터공학과 38명우주항공공학부 15명체육학과 31명공학융합학부 95명컴퓨터공학과 57명우주항공공학부 24명체육학과 41명공학융합학부 150명신설>-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기술경영공학과 11명분리>신소재공학부 41명재료금속공학과 23명첨단소재융합공학과 18명감원>행정학과(야) 16명빅데이터창업비즈니스학과 13명공학계열 자율전공학부 51명행정학과(야) 11명빅데이터창업비즈니스학과 10명공학계열 자율전공학부 38명폐지>국제무역학과(야) 11명-신산업경영융합학과(야) 11명기술경영공학과 11명스마트헬스케어학과 10명-전기공학과 30명공학융합합부(변경) 150명
2025-08-012026학년도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 학과 소개 자료를 붙임과 같이 안내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7-162026학년도 학과(학부) 소개자료를 붙임과 같이 안내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6-232026학년도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 통합에 따라 캠퍼스별 수시모집 요강을 붙임과 같이 안내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5-222025학년도 GAST 신입생
전액 장학금 지원
2025학년도 GAST 신입생 중
학생생활관 입실을 원하는 학생은
우선 입실대상자로 배정
2025학년도 GAST 신입생
전원 1인당 연간 180만원
생활비 지원
연구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석사 연계과정 프로그램 우선 지원
우수학생 대상
해외 장,단기 연수 지원
마이크로디그리 중심의
유연한 전공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