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의 영향력 확대, 국가간 FTA 체결, 중국경제의 급부상 등 국제교역과 세계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북아 물류중심을 위한 항만물류 산업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항만 및 물류분야의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분야의 산업현장에 필요한 고급 전문인력을 양성함을 그 목표로 한다.
표시과목은 종합시험 과목임
교과목 구분 | 학수번호 | 과목명 (영문명) | 학점 | |
---|---|---|---|---|
공통과목 | PLD1020 | 해운․항만 산업론(Sipping & Port Industry Theory) | 3 | |
PLD1021 | 동북아해운․항만국제세미나(International Seminar) | 3 | ||
PLD1022 | 항만물류영어(Port Logistics English) | 3 | ||
PLD1024 | 국제물류론(International Logistics) |
3 | ||
PLD1025 | 해운․항만노무, 인사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hipping and Port Industry) | 3 | ||
PLD1026 |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 | 3 | ||
PLD1027 | 물류관리론(Logistics Management) |
3 | ||
PLD1038 | 해운․항만마케팅(Shipping & Port Marketing) | 3 | ||
PLD1028 | 화물운송론(Cargo Transport) |
3 | ||
PLD1029 | 해운․항만e-Business(Shipping and Port e-Business) | 3 | ||
PLD1030 | 보관하역론(Deposit Unloading) | 3 | ||
PLD1039 | 물류관련법규(Laws on Logistics) | 3 | ||
항만물류 관리전공 | PLD1031 | 항만관리정책론(The Theory of Port Management Polocy) | 3 | |
PLD1032 | 항만배후단지전략(The Strategy of Port Backyard) | 3 | ||
PLD1033 | 항만하역론(The Theory of Port Cargo) | 3 | ||
PLD1034 | 항만물류기획론(The Theory of Port Logistic Planning) | 3 | ||
PLD1035 | 터미널관리론(Terminal Operation) | 3 | ||
PLD1036 | 글로벌항만물류정책(Global Port & Logistics Policy) | 3 | ||
PLD1037 | 항만물류시스템(Port & Logistics Systems) | 3 | ||
기초공통 | PLD0999 | 논문연구(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 ||
기초공통 | 학 점 계 | 36 | ||
전공과목 | 학 점 계 | 21 | ||
학점총계 | 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