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3학년 강다은, 2학년 김가은 학생이 국립창원대학교-경남도지사와 함께하는 토크콘서트에서 대표발표 및 도시사와의 질의응답에 참여하였습니다.  
- 이하 핫이슈 게시물 발최
국립창원대학교는 28일 대학본부 인송홀에서 경상남도지사와 국립창원대 총장 및 교직원, 총동창회 및 학생 등이 참석한 ‘청년과 함께하는 소통 플레이리스트; 청년의 꿈, 우리의 미래’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청년정책의 방향을 공유하고 대학생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보다 청년에게 밀접하고 필요한 청년 지원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두 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 ‘Start the Playlist–청년의 꿈을 리더와 함께 PLAY; 함께 만드는 나의 꿈, 우리의 미래‘에서는 경남에서 청년들이 만들어가는 꿈과 미래라는 주제로 △경남 지역 ICT 인프라를 통한 AI 연구 성과 및 실험실 창업 연계 △경남 ODA와 함께하는 청년 인재 양성 △‘경남에서 만들어가는 나의 비전’: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육 △스마트 제조와 나노기술을 활용한 미래 산업의 꿈 등 학생들의 발표를 통해 다양한 꿈과 목표를 공유했다.
두 번째 세션인 ‘Close-up Playlist–꿈과 비전을 더 가까이 TALK; 경남의 미래 MADE By Us’에서는 박완수 도지사와 박민원 총장, 학생들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상호 소통하며 미래 비전과 청년 정책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학생들은 도지사와 총장에게 꿈과 현실 사이의 고민과 희망을 질문하며, 지역 발전과 청년 정착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공유했다. 자유로운 질의응답과 진솔한 대화를 통해 참석자들은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고, 미래를 위한 의미 있는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박완수 도지사는 사회 진출의 첫발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현재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열정적으로 도전하고 있는가”를 되물으며 “인생은 가치관과 열정과 재능의 곱셈이라는 말이 있듯이, 자기 생각의 집합체인 가치관과 열정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박 지사는 “실패를 결코 두려워해서는 안된다”며 “목표를 향한 도전과 실패는 젊은 여러분의 자산이 되기에 큰 도전이 아닐지라도 작은 것부터 도전하라”고 독려했다. 아울러 ‘청년들이 경상남도에 남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질문의 답변으로 박 도지사는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는 첫째로 일자리, 두 번째로 교육”이라며 “전통적인 산업 중심의 경남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들의 목소리에 어떻게 부응할 것인지가 경남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콘텐츠 산업,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경남도는 대학의 혁신을 장려하고 기업 등과 함께 협력하며 학생들의 꿈과 희망에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청년들의 꿈 발표 시간에서 첫 번째로 발표한 국립창원대 정보통신공학과 석사과정 박광현 학생은 LINC 사업 등 경남지역의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 및 캡스톤디자인으로 창업 아이템을 발굴해 경남도지사상을 수상한 경험을 발표하며 향후 법인 전환 등 도내에서 창업계획을 공유했다. 기계공학부 노유림 학생은 공부하고 있는 나노 분야를 소개하고, 자동차동아리 활동 및 도내 기업과 협력과제 수행을 통한 실무경험을 발표하며 향후 경남 과학기술인으로서의 포부를 밝혔다.
이어진 도지사와의 질의응답 시간에는 꿈을 실현하면서 부딪힌 위기를 극복한 자신만의 노하우, 경험담을 공유하고, 도지사로서 청년을 위한 희망찬 경남에 대해 듣기도 하며 격식 없는 대화의 장을 열었다.
행사에 참여한 한 학생은 “중간고사 이후 느슨해질 찰나에, 동료 학생들의 꿈과 도지사님 이야기를 듣고 많은 동기부여가 되었다. 경남에서도 충분히 내 꿈을 펼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지금부터 노력하겠다”라고 했다.
박민원 국립창원대 총장은 “청년들이 느끼는 지역의 현안과 미래 비전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이와 같은 자리가 매우 중요하다. 국립창원대는 앞으로도 지역과 대학이 함께 힘을 모아 학생들이 지역에서 꿈을 이뤄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