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비전·목표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VISION

VISION 2025+

대학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

  • 교육이념

    성실 ㅣ 진리 ㅣ 자유 ㅣ 창조

  • 교육목표

    인성, 창의성,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 인재상

    자기주도적 지역선도 인재

    주체적 창조인

    • 폭넓은 교양
    • 글로벌 교양
    • 창의적 문제해결

    실용적 전문인

    • 심도 있는 전공
    • 현장 적응 능력
    • 융합 능력

    소통적 감성인

    • 의사소통 능력
    • 협동과 인간관계 능력
    • 실천적 봉사정신
  • 핵심역량

    지역형 리더 ㅣ 창의적 사고 ㅣ 실용적 융복합 ㅣ 의사소통 ㅣ 글로벌

대학의 비전 및 발전전략

  • 비 전

    경남의 중심에서 아시아로 세계로!

  • 슬로건

    국립대 10위권 대학으로 도약, 지역사회 기여 1위 대학

    Conversion
    campus

    전환시대의 융합형
    인재양성 대학

    World Vision
    campus

    세계를 품는 창대한
    글로벌 대학

    Network
    campus

    지역산업과 함께하는
    플랫폼 대학

    jump-Up
    campus

    새로운 변화와 도약의
    지속가능한 대학

  • 발전전략

    교육 혁신

    [교육]

    핵심역량 기반 창의융합 교육혁신

    [특성화]

    지역 맞춤형 인재육성 특성화

    [글로벌]

    글로벌 맞춤형 인재육성 교육 강화

    학생 지원

    [입학]

    미래 지역선도 인재 발굴

    [취업역량강화]

    산업체 수요 맞춤형 취업역량강화

    [창업·창직·신직업]

    다양한 미래산업 수요대비 창업·창직·신직업 지원

    산학협력·연구

    [신산업 특화 융복한 실용연구]

    신산업 특화 실용연구를 위한 성과창출 기반 구축

    [스타트업 캠퍼스 구축]

    기술혁신형 스타트업 캠퍼스 플랫폼 구축

    [지역사회공헌]]

    지역사회공헌 글로컬 커뮤니티 확산

    대학경영 혁신

    [교육성과관리]

    교육지원체제 구축

    [행정·재정·인권·안전]

    지속가능 경영 행정서비스 제공

    [공간·인프라]

    개방·공유·첨단 캠퍼스 플랜 완성

대학의 특성화 분야 및 추진전략

  • 특성화목표

    대학 특성화 역량 강화 기반 지역 혁신성장 및 지속발전 가치 창출

  • 인재상

    자기주도적 지역선도 인재

    참여형 특성화

    • 구성원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하는 특성화

    개방형 특성화

    • 사회변화에 탄력적이고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성화

    선별형 특성화

    • 여건 및 역량분석 기반
      자율적, 선별적 특성화
  • 인재상

    자기주도적 지역선도 인재

    • 지역산업·사회 연계
      학문분야 특성화
    • 학사제도 유연화 연계
      교육모델 특성화
    • 지역 네트워크 연계
      산학협력 특성화
    • 융복합 교육모델 연계
      인재양성 특성화
    • 공유대학 연계
      지역균형발전 특성화
    인재상

발전영역1. 교육혁신

발전전략과제
핵심역량 기반 창의융합 교육혁신
지역 맞춤형 인재육성 특성화
글로벌 맞춤형 인재육성 교육 강화
실행과제
교육
특성화
글로벌

[전공]

  • 융복합 인재양성 전공교육 강화
    • 전공능력기반 교육강화
    • 융합전공 교육과정 활성화
    • 현장실무 교육과정 강화
    • 스마트 교육 콘텐츠 개발

[교육모델]

  • 특성화 교육모델 고도화 및 내실화
    • 특성화 분야 발굴 및 확산 전략 추진
    • 특성화 분야 육성 강화

[One-Stop]

  • 국제교류 인프라 강화
    • 글로벌역량 관리 강화
    • 국제적 위상 강화 및 국제 교류 강화
    • 해외 우수인재 확보, 유치

[교양]

  •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강화
    • 교양교육 혁신 전담조직 구축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 강화
    • 창의융합형 교양 교육 확산

[학부]

  • 「공유전공 2.0」모델구축 및
    특성화 기반 학사구조 개선
    • 전공능력기반 교육강화
    • 융합전공 교육과정 활성화
    • 현장실무 교육과정 강화
    • 스마트 교육 콘텐츠 개발

[Out-bound]

  • 재학생 글로벌 역량 강화
    • 글로벌 기초교육 관리강화
    •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글로벌 마인드셋 구축
    • 글로벌 실무역량 강화

[비교과]

  • DT시대 대비 비교과 교육 활성화
    • 비교과 교육 혁신 전담조직 구축
    • 핵심학생역량 기반 비교과 교육 활성화
    • 단게별 학습능력 강화
    • 창의융합형 비교과 교육 확산

[대학원]

  • 특화 전문 대학원 전공 신설
    • 대학원 학사구조 개선
    • 지역(산업)혁신 선도 특화 전문 대학원 전공 신설

[In-bound]

  • 유학생 단계별 교육 강화
    • 유학생 문화적응 지원
    • 유학생 비교과프로그램 개발 확대로 커뮤니케이션 강화
    • 유학생 전공실무 교육 강화

발전영역2. 학생지원

발전전략과제
미래 지역선도 인재 발굴
사업체 수요 맞춤형 취업역량강화
다양한 미래산업 수요대비 창업·창직·신직업 지원
실행과제
입학
취업역량강화
창업·창직·신직업

[리쿠루팅]

  • 다채널 커뮤니케이션 입학컨설팅 강화
    • 전담조직의 입학관리 체계화
    • 입학자원 확보를 위한 전공체험 및
      학과탐색 프로그램 활성화
    • 입학홍보 전략구축 및 강화

[진로·취업 상담]

  • 맞춤형 직업선별을 위한 단계별 경력상담
    • 상담지원 체계 구축 및 내실화
    • 대상자별·단계별 심리상담 강화
    • 진로 및 취업상담 고도화

[기술창업]

  • 지역산업 수요기반 기술창업 지원
    • 대학원생 주도 고도화된 기술창업 지원정책 시행
    • 실험실 기술창업 사업화 및 단게별 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입시제도개선]

  • 지역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입학자원 다변화
    • 입시제도 개선
    • 지자체 연계모델 개발 및 운영
    • 대학원생 유치 지속적 확대 및 제도 개선

[취업맞춤굥육]

  • 산업체수요 맞춤형 취업 역량강화
    • 취업지원연계 구축 및 인프라강화
    • 창대한프로젝트 고도화 및 브랜드화
    • 취업 역량 프로그램 성과관리 및 환류

[소셜벤처]

  • 지역사회 수요기반 소셜 벤처 지원
    • 득화분야 협업센터(RCC) 구축·운영

[인재유지 및 이탈방지]

  • 학생지원 및 자치활동 강화
    • 신입생 인성함양교육 및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 강화
    • 학생지원 서비스 강화
    • 장학금제도 다양화 및 지원규모 지속적 확대

[취업연계]

  • 지역산업 연계 취업지원
    • 지역혁신 지역인재 채용제 개발 및 연계
    • 네트워크 활성화 및 취업연계 강화
    • 사후관리 강화

[미래수요기반]

  • 미래 수요기반 창업지원
    • 메이커아지트 교육 운영
    • 신기술관련 창업지원교육 운영

발전영역3. 산학협력·연구

발전전략과제
신산업 특화 실용연구를 위한 성과창출 기반 구축
기술혁신형 스타트업 캠퍼스 플랫폼 구축
지역사회 공헌 글로벌 커뮤니티 확산
실행과제
신산업 특화 실용연구
스타트업 캠퍼스 구축
지역사회공헌

[신산업화특화·기술이전]

  • 신산업 특화분야 발굴 및 연구개발 강화
    • 신산업 특화분야 발굴
    • 신산업 연구분야 활성화
    • 기술이전·사업화촉진 온라인 플랫폼 구축

[창업기업보육]

  • 창업기업 보육·성장 선순환 지원 체계 강화
    • 교원·학생 창업 활성화
    • 기술지주회사 기능강화 및 자회사 발굴

[평생교육]

  • 지역사회 연계 평생교육 기회확대
    • 평생교육 지원체제 확충
    • 평생교육 운영 내실화
    • 지역사회 수요기반 문화예술선도

[ICT·SW 특화]

  • ICT·SW융합 특화 분야 육성
    • ICT·SW 융합신산업 전담센터 구축
    • 특화분야 전문인재양성
    • 신산업 선도 융·복합 특화센터 집중 육성

[창업·벤처타운]

  • 기술혁신형 창업·벤처타운 조성
    • 창업벤처타운 입주기업 활성화
    • 창업벤처타운 고도화

[지역현안]

  • 지역리빙랩 깁ㄴ 캠퍼스 커뮤니티 활성화
    • 캠퍼스 커뮤니티 센터 조직 신설 및 기능강화
    • 지역사회 연계 리빙랩 사업 확대

[산업협력 혁신]

  • 산업협력 지원체계 조직 연구 인프라 혁신
    • 산합협력 제도·조직·인프라 혁신
    • 연구 인프라 및 지원체계 확신

[산학융합 오픈랩]

  • 산학융합 오픈랩 플랫폼 구축
    • 산학융합 오픈랩 운영
    • 산학융합 오픈랩 플랫폼 구축

[글로벌 네트워크]

  • 산학연관 글로벌 네트워크 공유·협엽 강화
    • 글로벌 네트워크 공유·협업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학생 사회봉사활동 활성화

발전영역4. 대학경영혁신

발전전략과제
교육지원체제 구축
지속가능 경영 행정서비스 제공
개방·공유·첨단 캠퍼스 플랜완성
실행과제
교육성과관리
행정·재정·인권·복지
공간·인프라

[교육성과관리]

  • 교육 성과 관리 고도화
    • 교육 혁신 통합관리
    • 교육 성과 관리 강화
    • 학생역량관리 시스템 고도화

[행정]

  • 소통 및 협력기반 대학경영 효율화
    • 소통기반 열린 의사결정 구조 구축
    • 역량 중심 인사 제도 실시 및 직원 육성 강화
    • 협력기반 스마트 통합 행정

[개방-공간]

  • 교육혁신 및 공간효율성 기반 오픈 캠퍼스 플랜
    • 교육혁신 인프라 구축
    • 캠퍼스 공간 마스터 플랜 완성
    • 안전·건강·소통·맞춤 캠퍼스 조성

[교수학습]

  • 체계적 교수역량 프로그램 개발·지원
    • 혁신적 교수법 확산
    • 단계별 교수학습능력 강화

[재정]

  • 미래예측 기반 재정확보 안정화
    • 재원 확충 및 예우제도 개선
    • 재정수익사업 관리체계 구축
    • 중장기 대학재정관리체계 구축

[공유-정보화]

  • 공유정보시대 정보화 캠퍼스 플랜
    • 정보공유 인프라 확충
    • 대학·학과 홍보 및 콘텐츠 다양화

[공유체제]

  • 교육혁신 네트워크 구축 공유체제 강화
    • 지역대학 간 체제 강화
    • 지자체-대학, USG 공유대학 간 체제 강화

[인권/복지]

  • 인권·복지 체계구축 및 활성화
    • 인권/심리 상담 활성화
    • 대학 구성원 복지 확대

[첨단-시설/설비]

  • 미래형 첨단 캠퍼스 플랜
    • 클라우드 기반 교육·연구 기반확충
    • 캠퍼스인프라 최적화

[학사제도]

  • 수요자 중심 학사제도
    • 학사제도 개선
    • 수업관리 및 학생평가 개선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VISION 2030」 기본 방향(안)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VISION

VISION 2030

  • VISION

    창의적 연구·교육으로 지역과 함께 세계를 향해 성장하는 대학

  • GOALS

    2030년 동남권 거점 국립대학 토대 구축
    2021년 3주기 대학기본역량 진단통과

VISION 2025 중장기발전계획기반 학부교육산학협력 선도모텔 성과창출

분야별 추진방향

분야별
추진방향

교육

교육 아이콘교육

지역혁신과 4차 산업혁명
선도 미래인재 양성교육 강화

예산

예산 아이콘예산

중장기 대학회계 건전성
확보와 수익창출
모델 지속적 확산

연구·산학 협력

연구 산학협력 아이콘연구·산학협력

지역산업·사회연계
융합연구·산학협력
지원강화

지역사회 선도대학

인프라 행정 아이콘인프라·행정

데이터 기반 인프라 활용도
제고와 구성원 공감
대학행정 실현

국제화

국제화 아이콘국제화

국제교류 및 글로벌 인재양성
원스톱 플랫폼 구축·지원강화

  • 담당부서 : 기획평가과
  • 전화 : 055-213-2082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