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핫이슈

핫이슈게시글 상세보기
오용석 교수 연구팀, '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개발로 욕창 진단 혁신!
게시자 황** 등록일 2025. 10. 13
일반


국립창원대 오용석 교수 연구팀

'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개발로 욕창 진단 혁신!

국립창원대/전기연/화학연 공동연구팀, 국제저명 학술지 표지논문 게재

압력, 온도, 가스 신호 실시간 모니터링 통한 욕창 조기 진단·감염 예방

IMG_161808.jpeg


국립창원대학교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GAST)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오용석 교수 연구팀은 한국전기연구원(KERI) 최명우 박사, 한국화학연구원(KRICT) 조동휘 박사 연구팀과의 학교-연구소-병원 공동연구를 통해 고령자나 장애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욕창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나노 소재·광전자 방식 기반의 '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고, 관련 성과가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표지논문(Back Cover)으로 게재됐다(교신저자 창원대 오용석 교수, 화학연 조동휘 박사/1저자 창원대 김상원 학생, 화학연 이선우 학생, 전기연 최명우 박사)13일 밝혔다. 학술지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JCR Impact Factor'19, 해당 분야 상위 4.5%에 속한다.

IMG_161833.png


오용석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욕창은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환으로, 지속적인 자세 변경과 위생 환경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피부에 묻은 배설물이 환부를 자극하여 욕창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관리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환자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환자의 피부에 센서를 부착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압력만을 측정하는 단일 기능 센서에 머물러 있다. 특히 배터리 용량 한계나 전선 연결을 통한 전원 공급 등의 제약으로 인해 실제 의료 현장 적용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IMG_161846.png


이에 비해 공동 연구팀은 압력, 온도, 암모니아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정보를 동시에 감지하면서, 배터리 없이 무선 전력 전송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현하였다이러한 성과는 욕창의 예방과 관리 분야에서 기술적 혁신을 이루어낸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압력 변화에 따른 탄성체(PDMS)의 변형을 광전자 방식으로 정밀 측정하고, 황화구리 나노소재를 이용해 상온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선택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압력과 가스를 동시에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또한 김해한솔재활요양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환자 대상 임상 유효성과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국립창원대 G-LAMP사업단(단장 박종규 교수), 과학기술정보신부 우수신진연구 과제, 그리고 BK21 스마트공장 교육연구단(4단계 BK21사, 단장 박용갑 교수)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논문: https://doi.org/10.1002/adfm.202506774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673220?sid=102

IMG_161920.png

IMG_161929.png


*붙임: 국립창원대 오용석 교수 연구팀, 학술지 표지 및 연구 개략도 사진.  .


내용 문의 :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055)213-3625

첨부파일
  • 담당부서 : 기획평가과
  • 전화 : 055-213-2602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