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45건 1/5페이지
-
- 국립창원대 G-램프(LAMP)사업단, 1년 만에 연구성과 3.8배 성장!
- 국립창원대 G-램프(LAMP)사업단, 1년 만에 연구성과 3.8배 성장!SCI 논문 20건→76건, Q1 논문 5.3배↑···협업연구 성과 기초과학·융합학문 분야 비약적 도약국립창원대학교 G-램프(LAMP)사업단이 출범 1년여 만에 논문, 특허, 기술이전, 국내·외 공동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며, 지역 기반 기초과학·융합학문 연구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국립창원대 G-램프(LAMP : Global-Learning &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for Master’s·PhD students, and Postdocs)사업은 교육부의 대학기초연구소 지원사업으...
- 2025. 11. 4 황**
-
- 국립창원대 조영태 교수 연구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논문 게재!
- 국립창원대 조영태 교수 연구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논문 게재!“빛으로 만든 ‘미끄러운 3D 구조체’···액체를 자유자재로 다루다”국립창원대학교 조영태 교수 연구팀이 빛을 활용해 물체의 부착력을 획기적으로 낮춘 표면을 개발하고, 액체가 움직이는데 저항이 거의 없는 3차원 미끄러운 구조체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2025년 10월 10일자로 게재됐다.(제목: ‘Digitally fabricated 3D slippery architectures for multifunctional liquid manipulation’, DOI: https://do...
- 2025. 10. 27 황**
-
- 국립창원대 이종근 교수, 공학 분야 상위 2.5% 국제저널 논문 게재!
- 국립창원대 이종근 교수, 공학 분야 상위 2.5% 국제저널 논문 게재!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환경 내 미세입자 산화 잠재력 예측 국립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환경에너지공학전공)는 이종근 교수가 고려대학교, 세종대학교와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를 통해 공학 분야 상위 2.5%(JCR rank 5/179)에 해당하는 국제저명학술지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에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o predict oxidative potential of fine particulate matter based on chemical con...
- 2025. 10. 23 황**
-
- 전준호 교수 연구팀, 환경분야 상위 5%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 국립창원대 전준호 교수 연구팀, 환경분야 상위 5%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한국 하천 내 네오니코티노이드 전국 실태 첫 규명국립창원대학교는 스마트그린공학부(환경에너지공학전공) 전준호 교수 연구팀의 연구 논문이 환경분야 상위 5% 국제저명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F 11.3, JCR 상위 5% in Environmental Sciences)에 2025년 10월자로 게재됐다고 21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국립창원대 전준호 교수 연구팀이 참여해 수행한 국내 최초의 ‘전국 단위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s, NNIs) 정밀조사 및 생태위해성 평가’ 연구로, 2022...
- 2025. 10. 21 황**
-
- 박종관 교수 연구팀, 자연 유기물질(NOM) 분자 특성 종합 분석 성공!
- 국립창원대 박종관 교수 연구팀, 자연 유기물질(NOM) 분자 특성 종합 분석 성공국립창원대·KIST 유럽연구소·경북대·Clemson대 공동 연구팀, 첨단 상호보완 분석 기법으로 자연 유기물질(NOM) 분자 특성 종합 분석 성공"NOM 특성 분석의 새로운 기반 마련, 수처리 기술 발전에 기여“ 국립창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전공 박종관 교수 연구팀이 자연 유기물질(NOM)의 복잡한 분자 구조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첨단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Chromatography A (분야 상위 19.2%, JCR rank 17/86)'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nbs...
- 2025. 10. 17 박**
-
- 최원중 교수 연구팀, 차세대 해수 담수화 기술 개발 성공!
- 국립창원대 최원중 교수 연구팀, 차세대 해수 담수화 기술 개발 성공!국립창원대, 경기대, 울산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 해수 담수화 관련한 연구 결과 국제 저명학술지 게재 ”가스 하이드레이트 기반 차세대 담수화 기술 산업화 노력“국립창원대학교는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 에너지화학공학과 최원중 교수 연구팀이 무방류 가스 하이드레이트 기반 해수 담수화 기술에 대한 연구결과사진>를 국제 저명 학술지인 ‘Crystal Growth & Design(분야 상위 14.5%, JCR rank 5/31)’에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결정 구조 형성 단계에서 염을 배제하고 순수한 물만 반응에 참...
- 2025. 10. 16 박**
-
- 국립창원대 박용갑 교수 연구팀, 열공학 분야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제시!
- 국립창원대 박용갑 교수 연구팀, 열공학 분야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제시!전산유체역학 및 인공지능 활용 열공학 분야 상위 7% SCI 논문 2편 게재 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기계공학전공) 박용갑 교수 연구팀의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 이문수(석박사통합과정 1학년 재학 중)는 최근 2건의 SCI 논문을 국제 저명 학술지인 ‘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IF: 6.4, JCR%: 7.0%(6/79) in Thermodynamics)’ 에 게재했다고 14일 밝혔다. 첫 번째 논문(https://doi.org/10.1016/j.csite.2025.106770...
- 2025. 10. 14 박**
-
- 오용석 교수 연구팀, '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개발로 욕창 진단 혁신!
- 국립창원대 오용석 교수 연구팀'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개발로 욕창 진단 혁신!국립창원대/전기연/화학연 공동연구팀, 국제저명 학술지 표지논문 게재압력, 온도, 가스 신호 실시간 모니터링 통한 욕창 조기 진단·감염 예방국립창원대학교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GAST)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오용석 교수 연구팀은 한국전기연구원(KERI) 최명우 박사, 한국화학연구원(KRICT) 조동휘 박사 연구팀과의 학교-연구소-병원 공동연구를 통해 고령자나 장애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욕창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나노 소재·광전자 방식 기반의 '배터리-프리, 무선 멀티모달 센서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고, 관련 성과가 ...
- 2025. 10. 13 황**
-
- 한상일 교수, 레몬주스 이용 ‘친환경 금속유기골격제 이산화탄소 포집제’ 개발!
- 국립창원대 한상일 교수, 레몬주스 이용 ‘친환경 금속유기골격제 이산화탄소 포집제’ 개발!국립창원대학교 공학융합학부 다공성 나노소재연구실(지도교수 한상일)은 레몬주스를 이용해 다공성 이산화탄소 포집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특히 이번에 개발된 레몬주스를 이용한 다공성 이산화탄소 포집제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 레몬주스 및 전이금속을 이용해 대기압 조건에서 합성하여 대량 합성이 간단하고 친환경 합성의 장점을 가진다. 특정 환원제를 소량 첨가하였을 경우, 개시제로 작용하여 결정 성장을 촉진 시켜 합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4시간에서 30분으로 크게 줄어드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발견하였다.포집제의 비표...
- 2025. 10. 10 황**
-
-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팀, '효소 및 초음파 추출 기반 강황 기능성 소재' 개발!
- 국립창원대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팀, 효소 및 초음파 추출 기반 강황 기능성 소재 개발식품 분야 국제저명학술지 Food Chemistry 게재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 연구팀(제1저자, Thinzar Aung·Nayab, 교신저자 김미정 교수)은 효소 보조 초음파 추출 기술을 기반으로 강황(Curcuma longa) 기능성 소재를 개발한 연구 성과를 국제학술지 Food Chemistry(IF=9.8, 식품분야 JCR 상위 3.9%)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전통적으로 항산화·항염증 효능이 보고된 강황을 대상으로, 효소 보조 초음파 추출법(enzyme-assisted u...
- 2025. 9. 24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