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전공의 목표는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현대국어 교육 이론과 교육 방법의 세계적 흐름에 부응한 학부 과정의 이론 및 교육 방법을 한층 심화 발전시키고 국어과 교사로서의 인격과 덕성을 함양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전 공 명 | 성 명 | 직 명 | 전 공 | 학 위 명 |
---|---|---|---|---|
국어교육 | 허철구 | 교수 | 국어학 | 문학 박사 |
윤애경 | 교수 | 현대문학 | 문학 박사 | |
남경완 | 교수 | 국어학 | 문학 박사 | |
박정선 | 교수 | 현대문학 | 문학 박사 | |
박지애 | 조교수 | 고전문학 | 문학 박사 | |
정경재 | 조교수 | 국어학 | 문학 박사 | |
권기성 | 조교수 | 고전문학 | 문학 박사 |
영역 | 교과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시간 |
---|---|---|---|---|---|
전공 | 교과교육학 | KLC1013 | 국어사교육론(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 3 | 3 |
KLC1015 | 현대소설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Modern Korean Novels) | 3 | 3 | ||
KLC1016 | 시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Poetry) | 3 | 3 | ||
KLC1018 | 서사문학사교육론(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 3 | 3 | ||
KLC1019 | 고소설교육론(Studies on Korean Classical Novel) | 3 | 3 | ||
KLC1020 | 한국고전시가교육론(Studies on Korean Classical Poetry) | 3 | 3 | ||
KLC1024 | 독서·작문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Reading & Writing) | 3 | 3 | ||
KLC1025 | 의사소통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 3 | 3 | ||
KLC1026 | 국어문법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Korean Grammar) | 3 | 3 | ||
KLC1027 | 국어의미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Korean Semantics) | 3 | 3 | ||
KLC1028 | 국어음운교육론(Studies on the Education of Korean Phonology) | 3 | 3 | ||
KLC2016 | 현대문학연구(Studies on Modern Korean Literature) | 3 | 3 | ||
교과내용학 | KLC2017 | 한국고전시가사특수연구(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 3 | 3 | |
KLC2019 | 교과서고문헌강독연구(Reading of Old Documents i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 3 | 3 | ||
KLC2020 | 국어학연구(Studies on Korean Linguistics) | 3 | 3 | ||
KLC2021 | 국어어문규범연구(Studies on Norms of Korean) | 3 | 3 | ||
KLC2022 | 교과서문법내용연구(Studies on Korean Grammar i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 3 | 3 | ||
KLC2023 | 한국어교육연구(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 3 | 3 | ||
KLC5001 | 논문연구(Thesis Reserch) | 0 | 0 |
과목은 교원자격증 취득 희망자의 경우 교과교육영역으로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
국어교육의 이론적,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며, 국어교육의 목표,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 국어교육 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
국어교육의 성격, 중고등학교 교재의 분석, 수업안의 작성,
교수 방법 등, 국어과 지도의 실제 경험을 쌓게 한다.
국어의 계통과 형성으로부터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세국어, 현대국어에 이르는 국어의 분야별 양상과 역사적 변천을 고찰한다.
현대소설 이론의 일반 이론 및 교육론을 종합 검토하고 한국 현대소설의 이론 및 교육론의 사적 검토와 연구 방법을 심화시킨다. 특히 현대소설의 사회적 토대에 기인하는 작품론과 작가론을 병행하여 심화 연구한다.
시의 본질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한국 현대시의 사조별 특징과 시대적 배경 등을 검토하고 아울러 중고등학교 시 교육의 올바른 방법론에 대해 연구한다.
전통적인 서사장르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 문학사적인 특성과 아울러 개별작품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분석 평가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고소설 개별작품이 지닌 성격을 이해시키며 대표적 고소설의 작품론을 바탕으로 고소설이 지닌 일반적 성격을 인식시키고, 이와 아울러 소설사적인 특성과 개별작품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분석 평가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 고전시가의 장르별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정설화된 내용과 그렇지 않은 학설을 분류하고, 이것을 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시킨다.
읽기 교육과 쓰기 교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해와 표현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탐구한다.
의사소통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담화 상황을 고려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을 위한 교육 방법론을 탐구한다.
한국어의 단어와 구, 절, 문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현행 학교 문법과 비교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를 적용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국어 어휘 체계의 의미구조, 의미관계, 의미기능 등 어휘의미론을 중심으로 하여, 문장의미론, 화용론 등 한국어 의미론 전반에 관한 기초 이론을 제공한다.
한국어 음운의 목록과 체계를 이해하고 각 음운이 서로 어울려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 한국어의 말소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교육시키는 방법을 탐색한다.
고전 문학과의 연속적 체계 아래 한국 근현대 문학작품을 검토 연구한다. 현대 문학 연구 방법론의 세계적 연구 경향과 방법을 습득하고 한국 고전 문학과 연계한 한국 문학 작품 연구 방법을 심화시킨다.
원시가요에서 개화기 시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 시가장르의 상호 연계성과 흐름을 파악하되, 중등학교 교과서를 비롯한 교육용 도서와 교육 자료에 얼마나 보편성 있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한다.
현행 국어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고문헌 자료를 선별 강독하여, 각 문헌 자료가 지닌 가치를 살피고 고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현대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 체계 전반을 이해하여, 국어과 교사로서의 교육적 자질을 함양한다.
한글맞춤법, 표준어규정, 로마자표기법, 외래어표기법의 원칙 및 원리를 검토∙연구하여, 국어 교육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
현행 국어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어에 대한 지식 전반을 검토하여,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 교육 방안 및 개선점을 모색한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때 필요한, 말하기∙듣기∙쓰기∙읽기와 같은 언어 기능 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아이를 지도하기 위한 국어 교사의 학문적, 교육적 자질을 함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