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영유아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가족과 기관의 관계 안에서 영유아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가족과 교사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학급에서 만날 수 있는 발달지연 영유아는 일반영유아와도 다르고 특수영유아와도 다른 특성을 갖는다.
교육장면에서 만나는 발달지연영유아는 치료적 접근 이전에 유아교육학에 바탕을 두어 영유아의 발달을 이해 및 통찰하여 진단하고, 발달적교육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부모에 대한 상담 및 교육, 부모-자녀간 상호작용지원, 양육지원, 유아교육기관과 가정과의 연계 등 일상의 틀 안에서 적절한 심리환경적 지원을 제공하여 문제 상황에 대한 자연스럽고도 효과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달지연영유아를 지원한다. 또한 연령별 능력 도달 시간이 지연되는 발달지연영유아 외에도 특수교육 대상자로 분류된 장애영유아는 적합한 특수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가를 연계하여 가족과 교사를 지원한다.
전 공 명 | 성 명 | 직 명 | 전 공 | 학 위 명 |
---|---|---|---|---|
영유아 발달과 상담 |
전지형 | 교 수 | 유아언어교육,유아교육과정 | 철학박사 |
김민정 | 교수 | 부모교육,유아수과학교육,교사론 | 문학박사 | |
윤지영 | 교수 | 유아음악교육,유아동작교육,유아미술교육 | 교육학박사 | |
이창기 | 부교수 | 유아사회교육,놀이지도,아동상담 | 철학박사 | |
동풀잎 | 부교수 | 유아교육과멀티미디어,유아교과교재연구법 | 철학박사 | |
김 현 수 | 조교수 | 교육상담·심리 | 문학박사 |
영역 | 교과구분 | 학수번호 | 교 과 목 명 | 학점 | 시수 |
---|---|---|---|---|---|
전공 | 교과교육학 | ECC1001 | 영유아교육과정과 상담(ECE Curriculum and Counseling) | 3 | 3 |
ECC1003 | 통합예술교육과상담(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Counseling) | 3 | 3 | ||
ECC1004 | 성격및사회성발달(Personality and Socialization) | 3 | 3 | ||
ECC1005 | 영유아창의성의이해(Child Creativity) | 3 | 3 | ||
ECC1006 | 영유아상담론(Child Counseling) | 3 | 3 | ||
ECC1007 | 분석심리학과 교류분석에 기초한 인간심리의 이해(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and Transactional Analysis) | 3 | 3 | ||
교과내용학 | ECC2001 | 영유아문학과상담(Children's Literature and Counseling) | 3 | 3 | |
ECC2002 | 경계의어려움(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 3 | 3 | ||
ECC2003 | 교류분석과상담(Transactional Analysis and Counseling) | 3 | 3 | ||
ECC2004 | 음악과인간행동(Music and Human Behavior) | 3 | 3 | ||
ECC2005 | 영유아미술교육과심리(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sychology) | 3 | 3 | ||
ECC2007 | 다문화사회와영유아상담(Multiculturalism in Counseling) | 3 | 3 | ||
ECC2008 | 영유아생활과놀이상담(Play and Counseling) | 3 | 3 | ||
ECC2009 | 영유아미디어와생활(Young children and Media) | 3 | 3 | ||
ECC2010 | 부모상담(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 3 | 3 | ||
ECC2011 | 집단상담및교육프로그램개발(Group Counseling in Practice) | 3 | 3 | ||
ECC2012 | 특수교육학개론(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3 | 3 | ||
ECC2013 | 장애아동보육론(Theory of Disturbed Children Care) | 3 | 3 | ||
ECC2014 | (특수아)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 3 | 3 | ||
ECC2015 | 특수아(장애아)부모교육론(The Role of Parents in Special Education) | 3 | 3 | ||
ECC2016 | 특수아상담및가족지원(Family Counseling and Support) | 3 | 3 | ||
ECC2017 | 상담의인지학적접근(Cognitive Approaches to Counseling) | 3 | 3 | ||
ECC2018 | 교육심리상담의이해(Educational Psychology and Counseling) | 3 | 3 | ||
ECC2019 | 사회적변화와유아교육쟁점(Social changes and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3 | 3 | ||
ECC2020 | 유초연계교육론(Issues and strategies for integrat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 3 | 3 | ||
ECC2021 | 움직임과예술에기초한인간심리의이해(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based on movement and art) | 3 | 3 | ||
ECC5001 | 석사논문연구(Theoretical Writing) | 0 | 0 |
영유아교육현장에서는 서로 다른 상황과 대상에 따라 다양한 상담이 요구됨. 이에 따라 영유아교육현장에 적용되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계획하고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담 상황과 대상을 예측해보고 기본적인 상담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
음악, 미술, 무용 등 다양한 예술교육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통합예술치료 및 상담의 의미와 목적, 효과에 대하여 분석·논의함. 또한 이와 관련된 주요 이론적 또는 실제적 문제나 주제들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탐색하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통합예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
사회성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그 의미를 다각도에서 살펴보고 양육의 태도와 방법이 한 인간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
영유아들의 창의성의 개념과 창의성 발달에 대한 이론과 연구법들을 고찰하고, 최근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동향분석을 통해 영유아의 창의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둠. 또한 영유아의 창의성을 진단하는 측정도구와 진단법, 연구법들을 탐색하고 영유아 창의성 계발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함
영유아와 영유아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고 영유아와 그 가족구성원에게 적절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담의 이론과 실제 및 영유아에게 적합한 상담기법을 학습함
한개인은자녀,배우자,부모등의사적영역에서의정체성은물론사회적영역에서의정체성을형성하는데,이러한일련의과정을통해고유한성격을형성하게됨.Freud,Erikson등심리학에 대한기초적인내용과Jung의분석심리학을통해자신과타인을이해함.나아가교류분석으로다양한교류를분석하며인간심리와관계에대해이해함
영유아문학은 일상생활 중 영유아가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이며 보편적인 매체라 할 수 있음. 따라서 영유아문학의 가치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영유아가 접하게 되는 영유아문학의 예방적, 치료적 가치를 알고 영유아상담과 연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
영유아가 갖는 어려움에 대한 진단을 통해 접근하는 것은 특수교육에서의 치료적 접근이라 할 수 있음. 오늘날 문제가 있다고 추정되는 다수의 영유아들은 경계에 있는 아이들 즉, 진단을 요하는 상태가 아닌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범주 사이에 있는 경우가 상당수라 할 수 있음. 따라서 특수교육이 아닌, 특수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는 영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 상담의 관점에서 접근함
Berne의 교류분석심리학은 행동 분석을 위한 기초로서 의사소통자의 부모(parent), 성인(adult), 아이(child)의 3원적 자아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상호교류의 역동성을 해석함. 심리상태의 역학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해석의 틀을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 갈 수 있는 상담을 지원함
인간과 음악의 선천적 관계, 인간의 생득적인 반응 등을 알아보고 출생 이후 음악이 인간의 감정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음악을 정신 건강과 자기 돌봄에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함. 또한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음악감상 활동을 통한 심리치료적 의미를 살펴보고 활용함
영유아 미술교육과 심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각종 문제를 풀어갈 수 있도록 연구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국가 간 이주에 기인한 다문화를 비롯해 젠더, 장애, 세대, 계층, 종교 등 개인이나 집단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맞물려 발생하는 다양한 다문화 이슈들을 다룸. 이를 통해 다양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갖추며, 소수자뿐 아니라 주류집단에 속한 사회구성원에 대해서 높은 인권 및 다문화 감수성을 함양하여 상담에 임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춤
부모와 교사가 놀이이론 및 영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를 적절히 지원하고 개별 영유아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는 방법으로 영유아의 생활을 지도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놀이상담자적 자질을 갖춤
최근 영유아들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의 증가에 따라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담론들이 존재함. 전통적 미디어에서부터 최신 디지털 미디어까지의 담론들과 최신 사회문화들을 분석하고 영유아와 미디어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심리치료적 방법과 상담, 교육 방법 등을 탐구함
현대사회에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가족 문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위기의 가정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가정의 기능화, 가족관계의 정상화를 지향함. 이를 위해 Dreikurs의 민주적 부모교육론, Gordon의 의사소통이론, Berne의 상호교류분석이론 등 부모교육 및 상담에 관련된 이론 및 실제를 적용하여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도움
집단상담자의 지도 및 동료들과의 역동적인 상호 교류를 경험하며 개인의 감정, 태도, 생각 및 행동양식 등을 탐색하고 이를 성숙한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과정을 이해함. 뿐만 아니라 생활과정상의 문제해결과 바람직한 성장발달을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름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한 특수아동 및 특수교육의 학문적 기초를 중시하여 전반적인 특수교육과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수학습 및 지원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움
최근 보육의 현장에서 관심이 부각되는 장애아동을 적절하게 보육 하고 교육하기 위해 장애아동의 특성과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분리된 특수교육기관과 일반교육기관에 통합된 장애아동에 대해 이해함
장애에 대한 정확한 기본개념 속에서 통합교육의 기본 원리를 이해 하고 다양한 유형의 아동에 대한 기본 개념과 기초이론들을 학습함. 이를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 지원이 요구되는 아동들을 보육하는 데 필요한 기초지식과 기본역량의 토대를 갖춤
특수아동이 보일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와 그로 인해 표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행동상의 문제를 극복하고 도울 수 있는 부모 상담과 중재방법을 알아봄
장애영유아와 가족의 특성과 어려움, 요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가족지원이 어떻게 시행되어야 하는지를 이론적, 역사적, 실천적 관점에서 살펴봄.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 및 상담자로서 장애영유아 가족의 요구를 진단하고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 교육기관에서 시행할 수 있는 가족지원 프로그램들을 구체적으로 알아봄
본 교과목은 유아교육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지발달 관련 이론들을 상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유아의 인지발달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Vygotsky 후(後) 학자들의 개념중심교수방법(concept-based pedagogies)을 개괄적으로 알아본다. 이후 유아교육학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인지발달 이론을 상담에 적용하여 자신과 타인의 인지 도
식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나아가, 상담의 인지학적 접근의 이론과 실제를 문화다양성 교육과 연계하여 다양한 사회구성원 및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교육현장에서적응에어려움을겪는학생을다면적으로이해하고상담적으로개입하는역량을기름
유아교육과관련한최근이슈들을알아보고,유아교육현장에미치는영향과개선점에대해탐색한다
유아교육과초등교육간연계의필요성과의미를알아보고,효율적인연계방안에대해최근이슈들을점검하여구체적으로탐색한다
인간의삶속에녹아있는움직임을통해자신의생각이나감정들을인식하고표현하여움직임과정서의관계에대하여탐구한다
유아교육 현장실제에 대해 이론으로 접근해보는 경험을 통해 연구자 적인 태도를 가지고 이론에 근거하여 실제를 분석하는 능력을 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