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영양교육

HOME 전공소개 영양교육

교육목표

영양교육전공은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교육기관인 학교에서 영양교육 및 급식관리를 담당하는 영양교사의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양학‧식품학‧급식관리‧영양교육 및 상담 등의 식품영양 과목들과 교육학 관련 과목들을 이수함으로써 체계적인 영양교육과 효율적인 급식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며, 교원자격증(영양교사 2급)을 취득함으로서 임용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할 수 있다.

교수 명단

교수 명단
전 공 명 성 명 직 명 전 공 학 위 명
영양교육 문 혜 경 교 수 급 식 경 영 학 이 학 박 사
노 상 규 교 수 영 양 생 화 학 및 영 양 생 리 학 이 학 박 사
임 정 은 교수 임상영양학 이학박사
김미정 부교수 식품학 이학박사
유대웅 부교수 식품공학 공학박사
김지미 조교수 영양유전체역학 이학박사

교과과정표

교과과정표
영역 교과구분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학점 시수
전공과목 교과교육학 FNC1002 영양교육연구방법론(Materi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in Nutrition Education) 3 3
FNC1003 영양교육및상담특론(Advanced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3 3
FNC1004 영양교육세미나(Seminar in Nutrition Education) 2 2
FNC1005 생애주기영양학특론(Advanced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3 3
FNC1006 영양판정특론(Advanced Nutritional Assesment) 3 3
FNC1007 조리과학및교육방법론(Cookery Science Education) 3 3
FNC1008 영양학특론(Advanced Nutrition) 3 3
전공과목 교과내용학 FNC2002 최신영양문제연구(Current Topics in Nutrition Research) 3 3
FNC2004 급식경영특론(Advanced Foodservice Management) 3 3
FNC2005 단체급식특론(Advanced Foodservice in Institutions) 3 3
FNC2006 식품학특론(Advanced Food Science) 3 3
FNC2010 영양교사현장실습의이해(Understanding of field practice for nutrition educator) 3 3
FNC2008 식사요법특론(Advanced Diet Therapy) 3 3
FNC2009 식품위생학특론(Advanced Food Sanitation) 3 3
FNC5001 논문연구(Thesis Research) 0 0

교과목해설

영양교육연구방법론(Materi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in Nutrition Education)

영양교육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교육매체 개발과 학습지도 방법 및 수업안 계획 및 작성에 대한 창의적인 방법을 탐색한다.

영양교육및상담특론(Advanced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영양문제를 해결하는 영양교육 방법과 상담이론 및 상담방법을 다루고 자료수집과 상담내용, 전개방법에 대하여 강의하며, 학습자 중심으로 실습을 병행하여 상호토론 한다.

영양교육세미나(Seminar in Nutrition Education)

영양교육 분야에 있어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중요한 논제들을 소개하고 그것에 대하여 발표 및 연구․토의한다.

생애주기영양학특론(Advanced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기초영양학의 원리를 생애주기의 각 단계에 적용하며, 생애주기에 따른 생리적 특성, 영양소 대사 및 영양문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각 단계에 적절한 영양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영양판정특론(Advanced Nutritional Assesment)

영양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인체계측 방법과 임상적․생화학적 영양판정법에 대하여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영양판정 후 그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여 영양상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건강증진을 추구하는 방법론을 학습한다.

조리과학및교육방법론(Cookery Science Education)

식품의 근원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식품의 과학적 기본현상을 제시하고, 조리과정 중에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변화 등을 공부하며 나아가서는 조리과학의 최근동향을 파악하고 질 좋은 식품의 가공 및 조리과학적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영양학특론(Advanced Nutrition)

영양소들의 소화, 흡수, 대사, 체내 기능, 영양 및 건강문제에 대해 심화학습하고, 최신 영양 문제와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이에 대해 토론한다. 영양학 분야의 전문지식을 습득하여 영양교육자로서 전공 역량을 강화한다.

최신영양문제연구(Current Topics in Nutrition Research)

최근에 발표된 학술지, 참고서적 및 기타 문헌의 주요 연구내용들을 통하여 새로운 영양문제를 주제별로 선정하여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 등을 알아본다.

급식경영특론 (Advanced Foodservice Management)

영양사를 비롯한 급식경영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지식, 기술, 인성을 습득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공부한다. 급식산업의 현황, 급식시스템, 경영이론, 급식경영 관리과정, 급식인적자원관리, 급식마케팅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

단체급식특론 (Advanced Foodservice in Institutions)

단체급식을 운영하기 위해 급식관리자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이론과 실무 지식을 공부한다. 메뉴관리, 급식구매, 급식생산, 운반 및 배식, 시설 및 기기관리, 위생, 작업관리, 재무관리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

식품학특론 (Advanced Food Science)

식품 성분의 화학적 성질과 가공저장 중에 일어나는 변화현상을 비롯하여 최근 식품 연구 동향에 대한 내용을 강의하고 토의한다.

영양교사현장실습의이해 (Understanding of field practice for nutrition educator)

학교에서의 영양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현장실습 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학교급식에서 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급식관리전문가이자 영양 및 식생활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이해한다.

식사요법특론 (Advanced Diet Therapy)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영양상담의 일부로서 각 질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큰 몫을 차지하는 식사요법에 대한 이론을 익혀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나아가 식사요법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 및 지역민을 대상으로 원활한 상담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한다.

식품위생학특론 (Advanced Food Sanitation)

식품위생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영양교사로서 반드시 습득해야 할 식품과 미생물, 식중독 및 곰팡이 독소, 식품첨가물, 전염병 및 기생충, 위생동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아울러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의 기본 이론, 적용순서와 단계, 지원프로그램 등에 대해 배우고 학교급식에서의 HACCP 적용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서 구체적으로 HACCP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제반사항에 관해 논문 지도교수의 개별적인 지도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