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A+연구소
- 위치85호관 104호 (종합교육관)
- 전화번호(055)213-2853
- FAX(055)213-2854
국립창원대 DNA+연구소 중심의 지능형 설계-자율제조-예지정밀검증 기술 기반 디지털 생태계 구축 및 K-방산의 세계화 선도
•AI 기반 지능형 설계, 자율제조, 예지정밀검증 기술을 개발하여 방산 전 주기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 실증 플랫폼 구축
•학·석·박 연계와 실증 중심 교육을 통한 지역 방산 맞춤형 전주기 AI 융합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대학의 지역 우수 인재의 유치. 양성 및 취업률 제고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기여
•경남·창원 방산 산업을 기반으로 국립창원대학교 DNA+연구소가 K-방산 디지털 전환 선도에 따른 지역 혁신과 세계화 선도
위치81호관 205-1호(산학협동교육관)
전화번호(055)213-2856~7
FAX(055)213-2859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고 부족한 전문인력과 기술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 활용을 도와줌으로써 동남권역의 대표적 기술 파트너로 성장
동남권역 중소기업의 대표적 기술개발 파트너
역설계 기술을 활용한 신제품 개발에서 5축 정밀가공, 정밀측정까지 통합지원 서비스 실현
우수한 인력과 기술의 제공
역설계, 5축 가공, 정밀 측정 분야에서 우수한 인력과 기술을 제공하고 특히 기술 애로 사항과 시제품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통하여 중소 기업의 어려움 해결
고가 장비 활용 및 시제품 개발 파트너
약 40억의 고가장비를 구축하여 중소기업들을 위한 고속, 대형, 복합 5축 가공기를 비롯한 역설계, 정밀 측정 장비 등의 인프라를 완벽히 갖추어 고가장비의 구축 및 사용이 어려운 중소 기업에게 장비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시제품이나 개발품 제작·지원
위치84호관 에너지연구동
전화번호(055)213-2866~7
FAX(055)281-3170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발전과 함께 초전도전력기기의 개발이 가속도를 내고, 신재생에너지원과 초전도 전력기기가 전력계통에 속속 도입되는 시점에 학교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원과 초전도전력기기가 보다 빨리 전력계통 및 산업현장에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기초적이고 원천적인 대학본연의 연구기조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연구소 및 기업에 실질적인 혜택을 줌은 물론, 결과적으로 국가발전에 도움을 준다. 신재생에너지 및 초전도전력기기의 산업화로 인해 필요한 연구인력을 대학에서 조기에 양성하여 선순환 구조의 인력공급을 도모한다.
지역연구개발클러스터사업센터
위치산학협동관1동
전화번호(055)213-2897
지역혁신주체인 산·학·연이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대형 연구개발 사업 및 기업지원사업을 통한 지역혁신 구심체 역할 수행
대형연구과제 수행 및 기획
개발과제 구조해석 및 성능평가 지원
기업체 지원사업 수행
기업체 애로 기술해결 지원
KOLAS 시험기관 운영 및 시험
진동내구성연구센터
위치산학협동관3동
전화번호(055)213-2949
기계, 부품, 소재의 진동, 충격, 환경, 신뢰성, 역학시험 서비스 제공
공동장비활용사업
KOLAS 공인시험 및 비공인시험
기술지도/교류
교육훈련
메카트로닉스연구센터
창원대학교 메카트로닉스연구센터는 공장자동화 및 정밀기계공업의 기반기술인 메카트로닉스 공학분야를 산학연계하여 활성화 시키고 각 산업분야에 당 연구센터의 시스템 기술을 접목하여 고 부가가치 창출을 지원
지역전략 산업으로서의 메카트로닉스 산업분야 성장 동력 제고
동남권역 혁신 클러스터 체제 구축을 위한 산학연관 연계사업 추진
대학, 지자체, 산업체, 국책연구소간 산학협력 협의체 활동 강화
대학의 지역 우수 인재의 유치. 양성 및 취업률 제고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기여
신소재연구센터는 신소재 개발 및 산업응용을 위한 기술개발을 통하여 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 및 국가와 지역사회의 산업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친환경 신소재 기술의 메카로서 친환경 난연 하이브리드 복합재의 개발을 선도하는 동남권의 거점연구기관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됨.
친환경 난연복합재기술개발, 난연코팅재 개발, 설계해석기술을 확보한 친환경 난연복합재기술의 실용화 등을 목표로 연구 수행
2018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주제: 친환경 난연 하이브리드 복합재 개발, 9년간 약 70억원 지원)에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