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제품 및 환경디자인

HOME 졸업전시 2024 BEYOND 제품 및 환경디자인
  • 조성

    Down To Flow

    Down To Flow는 늘어나는 제 3의 오피스의 니즈에 대응하는 지하 주차장 오피스이다. 2030년을 배경으로 자율주행 상용화 시 줄어들 주차 필요 면적을가장 직주근접한 제 3의 오피스로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지하 공간의 특성인 단절을 ‘업무 몰입을 위한 환경’으로 재해석하여 진입할수록 몰입의 성격이 강화되는 경험을 담았다.

    원격 근무는 일과 삶의 경계를 흐린다. 이러한 중첩은 출퇴근 시간의 생략과 이점도 있지만 혼란도 존재한다. 하이브리드 워커에게가장 가까운 ‘전환’을 돕는 지하주차장 오피스를 제공하여 원격 근무의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진정한 균형을 찾고자 한다.

    02.
    출퇴근 생략을 위한 지하주차장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
    직주근접은 가장 큰 오피스 니즈 중 하나이지만 가장 직주근접한 재택 근무는 일과 삶의 경계를 흐려 효율 및 생산성을 낮추고 거점 오피스, 공유 오피스 등의 대안 오피스는 출퇴근 시간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필요도가 줄어들 지하주차장의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하여 주거 공간과 업무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출퇴근 시간의 발생을 생략하고자 한다.
    01. 출퇴근 생략을 위한 지하주차장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
    직주근접은 가장 큰 오피스 니즈 중 하나이지만 가장 직주근접한 재택 근무는 일과 삶의 경계를 흐려 효율 및 생산성을 낮추고 거점 오피스, 공유 오피스 등의 대안 오피스는 출퇴근 시간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필요도가 줄어들 지하주차장의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하여 주거 공간과 업무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출퇴근 시간의 발생을 생략하고자 한다.
    Main Value : 출퇴근 시간 생략 / Main UX:1분 출퇴근
    버스, 자차, 택시, 지하철 없이 엘레비이터로만 출근할 수 있는, 비 오는 날 우산을 챙기지 않아도 되는, 업무 도중 세탁기를 돌리고 올 수 있는, 점심 시간 집밥을 먹고 올 수 있는, 시차가 있는 글로벌 회의 일정도 무리 없는, 편안한 옷차림을 하고 방문할 수 있는, 반려동물 약 먹일 시간을 지킬 수 있는 자녀의 하원 시간에 부담 없이 데리러 가고 귀가하였다가 다시 출근할 수 있는, 1분만에 출근과 퇴근이 가능한, 추가 업무 발생에도 여유롭게 대처하는, 거주지 내 지하주차장.

    02.
    오피스 공간에서의 몰입 - 다양한 업무 스타일을 모두 만족시키는 공간
    하이브리드 워커는 자신의 업무 스타일에 적합한 환경(집 근처 카페, 공유 오피스, 작업실 등)을 선택하여 찾아간다. 이를 주거 공간 내 오피스로 대응하려면 업무 스타일에 따른 선호 업무 환경에 대한 니즈를 모두 반영해야한다. 업무 스타일에 따라 이용자가 원하는 공간을 분리하고 단계별로 구성하여 선택권을 제공하고자 한다.
    Main Value : 나에게 맞는 업무 환경 선택 / Main UX:다양한 업무를 최적화된 환경에서 수행
    커피를 마시며 캐주얼한 작업을, 함께 대화하며 시시콜콜한 아이디어 회의를, 소음 없는 공간에서 집중력을 확 높인 업무를, 아무에게 방해받지 않는 보안이 중요한 업무를, 조용한 공간에서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을, 내가 원하는 업무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별 공간 구성


    소개이미지

  • 김예원

    Healbot

    기피과목에 속하는 소아과는 의료진 부족으로 인한 ‘소아과 오픈런’, 병원에 대한 아동 환자의 두려움으로 통제가 어려워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아픈 자녀의 보호자는 시간이 지연될 수록 불안감에 민원을 넣는다. 이 환경 속에서의료진들에게 업무의 효율을, 아동에게 안정을, 보호자에게 신뢰를 주는 Healbot을 제안한다.

    Healbot은 아동병원에서 아이와 교감할 수 있는 탑승형 ai 로봇으로, heal(치유하다)과 robot(로봇)의 합성어로, 치유를 돕는 ai 로봇을 연상시킨다. Healbot은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하는 기능을 지녔으며, 의학지식을 러닝한 인공지능이 보호자에게 측정 결과 바탕 의학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결과를 진료실로 전송하여 진료 시간과 대기 시간을 단축한다.


    소개이미지

    Cohe

    워터프론트 문화 복합시설

    Cohe는 Cohesion 결속력의 줄임말로, 가족간의 결합과 화합을 추구하는 워터프론트 문화 복합 공간이다. 최근 세대간의 이슈와 갈등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가족들과의 관계까지 멀어지는 사회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세대를 잘 어우를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을 느끼고 화합을 추구하는 공간을 컨셉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세대간의 갈등과 소홀해진 가족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된 Cohe는 버려지는 폐건물을 활용한 공간이다. 또한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물놀이 시설과 미디어 아트 공간을 제공하며 세대의 화합과 환경개선을 동시에 전망하는 공간이다.

    그리하여 세대간의 격차 없이 기성세대, MZ세대든 누구나 즐겁게 놀 수 있는 수공간을 목표로 한다. 함께 이 공간에 방문한 일행들끼리 결속력을 다지는 공간이자 가족과의 시간을 오롯이 추억할 수 있는 힐링문화공간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미디어 아트를 통해서 젊은 세대의 공감을 얻고 자연과 맞닿은 공간을 연출하여 기성세대의 향수를 일으키고자 한다.


    소개이미지

  • 백다빈

    AccuSOS

    도심 내 발생하는 구조 상황에 대비한 응급 모빌리티 플랫폼 제안

    도시의 복잡한 교통 체계와 높은 인구 밀도는 응급 구조 활동에 큰 장애 요소가 된다. 좁은 도로와 주차된 차량들이 구조대의 신속한 출동을 방해하여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긴급 상황에 처한 환자의 위험성을 더욱 높인다. 시간이 지날수록 구조의 어려움은 극대화되며, 결국 구조 활동이 지연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ccuSOS'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시민과 구조대 간의 신속한 소통을 가능하게 해 구조 활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도시의 구조 시스템은 효율성을 회복하고,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소개이미지

    Green Oasis

    창원 원형광장 및 중앙대로 공간디자인 제안

    광장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람들의 모임과 교류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대표적으로 그리스의 아고라가 있다. 아고라는 사람들이 모여 국방의 의무를 논하고, 상인들이 물건을 거래하며 활기를 띠던 공간이었다. 아고라는 단순한 시장을 넘어, 도시의 정치적, 사회적, 예술적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광장과 대로는 본래의 역할을 상실하고 단순한 교차로나 통로로 전락해버렸다. 창원의 상징적 공간이었던 원형 광장도 이러한 변화를 겪으며,
    한때 사람들로 활기찼던 장소에서 이제는 사람들이 스쳐 지나가는 ‘미사용의 공간’으로 변질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방문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창원의 원형 광장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혀져 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자유롭게 휴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녹색 오아시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광장과 대로는 도시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그릇이자, 시간과 이야기가 쌓이는 공간이다.
    창원 원형 광장과 중앙대로가 다시 시민들의 발걸음을 모으고, 교류가 살아 숨쉬는 활기찬 공간으로 재탄생할 때, 이곳은 창원 시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로 거듭날 것이다.


    소개이미지

  • 이창호

    Lunar Lumiere

    인간착륙시스템(HLS)를 기반으로 한 달 남극 유인탐사 LTV 디자인 제안

    우주산업 발전과 달 탐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발전은 우리가 지구를 넘어 우주로확장하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단계이다. 그러므로 달 남극 지역에 대한 탐사와 유인 착륙,그리고 Lunar Terrain Vehicle과 같은 이동 수단이 필수적이다. Lunar Lumiere는 NASA의아르테미스 계획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달 탐사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달 남극 지역 탐사는 미래 인류의 전초기지를 구축하고 자원을 채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될 것이다.


    소개이미지

    Green Oasis

    창원 원형광장 및 중앙대로 공간디자인 제안

    광장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람들의 모임과 교류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대표적으로 그리스의 아고라가 있다. 아고라는 사람들이 모여 국방의 의무를 논하고, 상인들이 물건을 거래하며 활기를 띠던 공간이었다. 아고라는 단순한 시장을 넘어, 도시의 정치적, 사회적, 예술적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광장과 대로는 본래의 역할을 상실하고 단순한 교차로나 통로로 전락해버렸다. 창원의 상징적 공간이었던 원형 광장도 이러한 변화를 겪으며,
    한때 사람들로 활기찼던 장소에서 이제는 사람들이 스쳐 지나가는 ‘미사용의 공간’으로 변질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방문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창원의 원형 광장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혀져 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자유롭게 휴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녹색 오아시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광장과 대로는 도시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그릇이자, 시간과 이야기가 쌓이는 공간이다.
    창원 원형 광장과 중앙대로가 다시 시민들의 발걸음을 모으고, 교류가 살아 숨쉬는 활기찬 공간으로 재탄생할 때, 이곳은 창원 시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로 거듭날 것이다.


    소개이미지

  • 임승수

    Aero Link

    지역이동을 위한 미래 항공 모빌리티 솔루션 제안

    퍼스트마일 모빌리티와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는 각각 출발지와 목적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두 구간을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점을 착안하여 Aero Link 플랫폼을 기획하였다. Aero Link는 지역과 지역간의 이동을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추력 편향 방식의 항공 이동 수단 RAM(Last-Mile Mobility)과 지상 이동 수단 POD(First-Mile Mobility)를 원활하게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ero Link는 사용자가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단순한 교통수단의 집합체가 아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쾌적하고 편리한 이동 환경을 제공한다.


    소개이미지

    Green Oasis

    창원 원형광장 및 중앙대로 공간디자인 제안

    광장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람들의 모임과 교류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대표적으로 그리스의 아고라가 있다. 아고라는 사람들이 모여 국방의 의무를 논하고, 상인들이 물건을 거래하며 활기를 띠던 공간이었다. 아고라는 단순한 시장을 넘어, 도시의 정치적, 사회적, 예술적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광장과 대로는 본래의 역할을 상실하고 단순한 교차로나 통로로 전락해버렸다. 창원의 상징적 공간이었던 원형 광장도 이러한 변화를 겪으며,
    한때 사람들로 활기찼던 장소에서 이제는 사람들이 스쳐 지나가는 ‘미사용의 공간’으로 변질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방문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창원의 원형 광장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혀져 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자유롭게 휴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녹색 오아시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광장과 대로는 도시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그릇이자, 시간과 이야기가 쌓이는 공간이다.
    창원 원형 광장과 중앙대로가 다시 시민들의 발걸음을 모으고, 교류가 살아 숨쉬는 활기찬 공간으로 재탄생할 때, 이곳은 창원 시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로 거듭날 것이다.


    소개이미지

  • 홍지원

    GOTCHA

    홈 클리닝을 위한 세탁 보조 로봇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가정용 로봇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세탁 보조 로봇 Gotcha는 로보틱스 기술로 세탁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한다. Gotcha는 집안 곳곳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자가 세탁물을 모으지 않아도 스스로 수거하여 세탁과 건조를 완료하고, 세탁 후에는 옷을 깔끔하게 접기까지 마무리한다. Gotcha는 단순한 가전제품을 넘어, 세탁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신체적 부담을 덜어주며, 개인의 생활 스타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소개이미지

    Green Oasis

    창원 원형광장 및 중앙대로 공간디자인 제안

    광장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람들의 모임과 교류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대표적으로 그리스의 아고라가 있다. 아고라는 사람들이 모여 국방의 의무를 논하고, 상인들이 물건을 거래하며 활기를 띠던 공간이었다. 아고라는 단순한 시장을 넘어, 도시의 정치적, 사회적, 예술적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광장과 대로는 본래의 역할을 상실하고 단순한 교차로나 통로로 전락해버렸다. 창원의 상징적 공간이었던 원형 광장도 이러한 변화를 겪으며,
    한때 사람들로 활기찼던 장소에서 이제는 사람들이 스쳐 지나가는 ‘미사용의 공간’으로 변질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방문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창원의 원형 광장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혀져 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자유롭게 휴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녹색 오아시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광장과 대로는 도시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그릇이자, 시간과 이야기가 쌓이는 공간이다.
    창원 원형 광장과 중앙대로가 다시 시민들의 발걸음을 모으고, 교류가 살아 숨쉬는 활기찬 공간으로 재탄생할 때, 이곳은 창원 시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로 거듭날 것이다.


    소개이미지

  • 손희지

    MAISON_PARFUM LAB

    메종 마르지엘라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스마트 향수 디바이스 디자인 제안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초개인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더욱 적극적으로 표현하려 한다. 이에 따라 향수 시장에서도 개인의 취향을 충족시키는 제품 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향수는 대중적인 향에 치중해 개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화된 향수 경험을 제공하는 스마트 향수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에 맞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진 브랜드를 조사한 결과, 해체주 의 디자인을 브랜드 가치로 삼고 있는 메종 마르지엘라가 적합한 협업 파트너로 판단되었다. 그렇기에 마르지엘라와의 협업을 통해 향수 디바이스에 개성을 더하고 차별화된 경험을 제 공하고자 한다.


    소개이미지

    BLUE HARBOR

    휴식과 문화를 함께 제공하는 용지호수공원 리디자인

    현재 경제적,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면서 사회가 크게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가치관이 바뀌면서 휴식의 개념이 문화를 경험하는 방향으로 달라졌다. 하지만 용지호수는 과거에 머물러 있으며 단순히 산책하거나 정적인 호수 감상, 운동 외에는 공원을 문화적으로 즐길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시민들이 단순한 활동에서 벗어나 쾌적한 공간에서 휴식할 수 있도록 호수라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심미적 요소를 만든다. 호수 안 쪽으로 가는 길과 물을 체험하는 활동,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실내 공간으로 흥미로운 요소들을 제공하는 호수 공원 디자인을 제안한다.

    TIMELINE
    1946 농업용수 공급 경상도속천지리지:농지에 물을 공급하는 제언
    1974 용지제에서 용지호수 용지동 개발로 창원이 공단도시화
    1977 공원지정 4월 공원 지정 고시
    1984 조성계획 결정 용지호수 조성 계획 결정 시민들이 낚시를 즐김
    1990 최초 도심 수영장 가족단위가 주로 즐기는 놀이터가 되었음

    USER ANALYSIS
    시민들은 지금의 용지호수가 산책과 간단한 운동밖 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제한적인 공간이라고 인식 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족들과 함께 수영을 활동 적으로 즐길 수 있었던 과거를 그리워하기도 한다. 수공간은 인위적인 도시환경에서 쾌적하고 생기있 는 공간을 창출한다. 이에 심미적, 물과 관련된 흥미 로운 요소를 포인트로 공간 방향성을 잡았다.

    SITE ANALYSIS
    상업지역 용지호수는 상업지역을 방문한 사람들이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내는 공간으 로서 기능한다. 상업공간과의 조화로운 연계가 방문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주거지역 용지호수는 인근 주거지역에 있는 주민들에게 일 상적인 휴식처가 된다. 주거지역에서 바라보는 용지호수의 풍경은 높은 건물들 속에서 자연적인 경관을 제공해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녹지지역 용지호수와 녹지지역은 자연적인 연결성을 가 지며, 공원의 자연 요소와 호수의 물길이 녹지 지역의 확장된 느낌을 준다. 녹지지역과 호수 는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적 가치를 지니 며, 특히 새들이 쉬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수생 생물들이 서식하는 장소로 기능한다.
    공업지역 용지호수는 과거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조성 되었고, 이후 공업지역이 발달하면서 공업도시 창 원의 한 축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업 지역과의 관계는 용지호수의 역사적 변천을 나타 낸다.

    CONCEPT
    용지호수는 대부분 자연으로 이루어진 만큼, 도시에서 살던 시민들은 공원으로 모여들어 쉽게 느낄 수 없는 자연을 경험하려 한다. 이에 리디자인을 할 때, 인공적인 디자인은 시민들에겐 반감이 들 것이다. 자연의 기본 요소를 사용하여 최대한 훼손 시키지 않으면서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위해 구성하였다.

    나뭇잎 물 바람

    나뭇잎의 형태 바람결 형상 물방울의 곡선

    잎새다리 용지호수의 수상휴게소는 위치 상 시민들이 이용하기 불편하고, 안의 공간도 협소하다. 호수에 주로 나뭇잎이 수면 위로 떠 있는 점을 포인트로, 호수의 안 쪽으로 위치하면서 거리 문제 해결과 함께 물에 가까이 가서 감상하는 뷰를 연출한다. 그래스호퍼를 통해 새어나오는 빛을 통해 마치 숲에 있는 느낌을 만든다.
    물빛섬
    시민들은 과거 수영장을 그리워한다.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여 물을 직접 체험하고, 돌다리를 건너는 느낌과 누워서 호수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언덕 공원 특성 상, 비가 내리면 여러 가지 제약이 생기고, 공원 내에는 모일 수 있는 실내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릉지 안에서 매점, 위에서 호수 뷰를 감상하며 편하게 휴식하는 도서관까지 총 2층으로 구성한다.

    잎새다리부터 시작해서 긴 다리를 건너면서 작은 섬을 지나 바로 피크닉존으로 가거나, 바람언덕으로 방문할 수 있다. 바람언덕의 1층 내부에 매점이 있는데, 언덕 위치가 용지호수의 한 가운데에 있어서 방문하기 편하다. 바람언덕을 지나 정구장 앞에 바로 물빛섬이 위치해서 시민들은 원하는 활동을 즐길 수 있다.

    01호수입구 - 잎새다리 잎새다리에서 단에 앉아 가까이 호수를 감상하며 그래스호퍼로 된 지붕을 통해 은은한 빛을 받는다.
    02잎새다리 - 바람언덕이후 반대쪽 다리를 건너면서 바람언덕 쪽으로 천천히 나아간다.
    03바람언덕 - 물빛섬바람언덕에서 물빛섬으로 걸어가며 돌다리를 건너 마지막 장소에 도달한다.


    소개이미지

  • 유해인

    Zen_Ripples

    Zen_Ripples

    적합한 명상법을 찾는 스마트 퍼스널 명상 디바이스 디자인 제안

    Zen_Ripples는 명상 중의 평화로운 파동을 의미하며, 이는 명상을 통해 달성하는 평온함과 집중력의 상태를 상징한다. 개인마다 효과적인 명상 방법이 다르며 집중할 수 있는 미션을 내거나, 시각이나 청각, 촉각을 통한 감각적 경험, 요가 등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맞는 방식들로 이끈다. 이를 통해 각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명상 방법을 찾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명상 경험을 개인화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과 맞는 방법으로 마음의 평화와 균형을 찾아가는 여정을 제안한다.

    Design Process
    코로나 이후 피로, 우울증, 무기력 증가로 2023년에 정신건강케어가 트렌드

    Function
    화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MR 글라스 허브
    화면 디스플레이로 설정 조절, 컨트롤러로 진동, 촉각을 자극하고, MR 글라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시청하거나 뒤로 착용하여 주파수를 통해 뇌를 편안하게 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허브는 이 모든 구성을 한곳에 모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소개이미지

    BLUE HARBOR

    BLUE HARBOR

    휴식과 문화를 함께 제공하는 용지호수공원 리디자인

    현재 경제적,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면서 사회가 크게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가치관이 바뀌면서 휴식의 개념이 문화를 경험하는 방향으로 달라졌다. 하지만 용지호수는 과거에 머물러 있으며 단순히 산책하거나 정적인 호수 감상, 운동 외에는 공원을 문화적으로 즐길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시민들이 단순한 활동에서 벗어나 쾌적한 공간에서 휴식할 수 있도록 호수라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심미적 요소를 만든다. 호수 안 쪽으로 가는 길과 물을 체험하는 활동,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실내 공간으로 흥미로운 요소들을 제공하는 호수 공원 디자인을 제안한다.

    TIMELINE
    1946 농업용수 공급 경상도속천지리지:농지에 물을 공급하는 제언
    1974 용지제에서 용지호수 용지동 개발로 창원이 공단도시화
    1977 공원지정 4월 공원 지정 고시
    1984 조성계획 결정 용지호수 조성 계획 결정 시민들이 낚시를 즐김
    1990 최초 도심 수영장 가족단위가 주로 즐기는 놀이터가 되었음

    USER ANALYSIS
    시민들은 지금의 용지호수가 산책과 간단한 운동밖 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제한적인 공간이라고 인식 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족들과 함께 수영을 활동 적으로 즐길 수 있었던 과거를 그리워하기도 한다. 수공간은 인위적인 도시환경에서 쾌적하고 생기있 는 공간을 창출한다. 이에 심미적, 물과 관련된 흥미 로운 요소를 포인트로 공간 방향성을 잡았다.

    SITE ANALYSIS
    상업지역 용지호수는 상업지역을 방문한 사람들이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내는 공간으 로서 기능한다. 상업공간과의 조화로운 연계가 방문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주거지역 용지호수는 인근 주거지역에 있는 주민들에게 일 상적인 휴식처가 된다. 주거지역에서 바라보는 용지호수의 풍경은 높은 건물들 속에서 자연적인 경관을 제공해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녹지지역 용지호수와 녹지지역은 자연적인 연결성을 가 지며, 공원의 자연 요소와 호수의 물길이 녹지 지역의 확장된 느낌을 준다. 녹지지역과 호수 는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적 가치를 지니 며, 특히 새들이 쉬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수생 생물들이 서식하는 장소로 기능한다.
    공업지역 용지호수는 과거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조성 되었고, 이후 공업지역이 발달하면서 공업도시 창 원의 한 축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업 지역과의 관계는 용지호수의 역사적 변천을 나타 낸다.

    CONCEPT
    용지호수는 대부분 자연으로 이루어진 만큼, 도시에서 살던 시민들은 공원으로 모여들어 쉽게 느낄 수 없는 자연을 경험하려 한다. 이에 리디자인을 할 때, 인공적인 디자인은 시민들에겐 반감이 들 것이다. 자연의 기본 요소를 사용하여 최대한 훼손 시키지 않으면서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위해 구성하였다.

    나뭇잎 물 바람

    나뭇잎의 형태 바람결 형상 물방울의 곡선

    잎새다리 용지호수의 수상휴게소는 위치 상 시민들이 이용하기 불편하고, 안의 공간도 협소하다. 호수에 주로 나뭇잎이 수면 위로 떠 있는 점을 포인트로, 호수의 안 쪽으로 위치하면서 거리 문제 해결과 함께 물에 가까이 가서 감상하는 뷰를 연출한다. 그래스호퍼를 통해 새어나오는 빛을 통해 마치 숲에 있는 느낌을 만든다.
    물빛섬
    시민들은 과거 수영장을 그리워한다.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여 물을 직접 체험하고, 돌다리를 건너는 느낌과 누워서 호수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언덕 공원 특성 상, 비가 내리면 여러 가지 제약이 생기고, 공원 내에는 모일 수 있는 실내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릉지 안에서 매점, 위에서 호수 뷰를 감상하며 편하게 휴식하는 도서관까지 총 2층으로 구성한다.

    잎새다리부터 시작해서 긴 다리를 건너면서 작은 섬을 지나 바로 피크닉존으로 가거나, 바람언덕으로 방문할 수 있다. 바람언덕의 1층 내부에 매점이 있는데, 언덕 위치가 용지호수의 한 가운데에 있어서 방문하기 편하다. 바람언덕을 지나 정구장 앞에 바로 물빛섬이 위치해서 시민들은 원하는 활동을 즐길 수 있다.

    01호수입구 - 잎새다리 잎새다리에서 단에 앉아 가까이 호수를 감상하며 그래스호퍼로 된 지붕을 통해 은은한 빛을 받는다.
    02잎새다리 - 바람언덕이후 반대쪽 다리를 건너면서 바람언덕 쪽으로 천천히 나아간다.
    03바람언덕 - 물빛섬바람언덕에서 물빛섬으로 걸어가며 돌다리를 건너 마지막 장소에 도달한다.


    소개이미지

  • 윤은별

    Down To Flow

    Down To Flow는 늘어나는 제 3의 오피스의 니즈에 대응하는 지하 주차장 오피스이다. 2030년을 배경으로 자율주행 상용화 시 줄어들 주차 필요 면적을가장 직주근접한 제 3의 오피스로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지하 공간의 특성인 단절을 ‘업무 몰입을 위한 환경’으로 재해석하여 진입할수록 몰입의 성격이 강화되는 경험을 담았다.

    원격 근무는 일과 삶의 경계를 흐린다. 이러한 중첩은 출퇴근 시간의 생략과 이점도 있지만 혼란도 존재한다. 하이브리드 워커에게가장 가까운 ‘전환’을 돕는 지하주차장 오피스를 제공하여 원격 근무의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진정한 균형을 찾고자 한다.

    02.
    출퇴근 생략을 위한 지하주차장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
    직주근접은 가장 큰 오피스 니즈 중 하나이지만 가장 직주근접한 재택 근무는 일과 삶의 경계를 흐려 효율 및 생산성을 낮추고 거점 오피스, 공유 오피스 등의 대안 오피스는 출퇴근 시간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필요도가 줄어들 지하주차장의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하여 주거 공간과 업무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출퇴근 시간의 발생을 생략하고자 한다.
    01. 출퇴근 생략을 위한 지하주차장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
    직주근접은 가장 큰 오피스 니즈 중 하나이지만 가장 직주근접한 재택 근무는 일과 삶의 경계를 흐려 효율 및 생산성을 낮추고 거점 오피스, 공유 오피스 등의 대안 오피스는 출퇴근 시간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필요도가 줄어들 지하주차장의 유휴 공간을 오피스화하여 주거 공간과 업무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출퇴근 시간의 발생을 생략하고자 한다.
    Main Value : 출퇴근 시간 생략 / Main UX:1분 출퇴근
    버스, 자차, 택시, 지하철 없이 엘레비이터로만 출근할 수 있는, 비 오는 날 우산을 챙기지 않아도 되는, 업무 도중 세탁기를 돌리고 올 수 있는, 점심 시간 집밥을 먹고 올 수 있는, 시차가 있는 글로벌 회의 일정도 무리 없는, 편안한 옷차림을 하고 방문할 수 있는, 반려동물 약 먹일 시간을 지킬 수 있는 자녀의 하원 시간에 부담 없이 데리러 가고 귀가하였다가 다시 출근할 수 있는, 1분만에 출근과 퇴근이 가능한, 추가 업무 발생에도 여유롭게 대처하는, 거주지 내 지하주차장.

    02.
    오피스 공간에서의 몰입 - 다양한 업무 스타일을 모두 만족시키는 공간
    하이브리드 워커는 자신의 업무 스타일에 적합한 환경(집 근처 카페, 공유 오피스, 작업실 등)을 선택하여 찾아간다. 이를 주거 공간 내 오피스로 대응하려면 업무 스타일에 따른 선호 업무 환경에 대한 니즈를 모두 반영해야한다. 업무 스타일에 따라 이용자가 원하는 공간을 분리하고 단계별로 구성하여 선택권을 제공하고자 한다.
    Main Value : 나에게 맞는 업무 환경 선택 / Main UX:다양한 업무를 최적화된 환경에서 수행
    커피를 마시며 캐주얼한 작업을, 함께 대화하며 시시콜콜한 아이디어 회의를, 소음 없는 공간에서 집중력을 확 높인 업무를, 아무에게 방해받지 않는 보안이 중요한 업무를, 조용한 공간에서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을, 내가 원하는 업무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별 공간 구성


    소개이미지

  • 장수경

    Gyrofit

    고령자 실내용 자이로스코프 휠체어

    우리의 신체는 많은 특권을 누리는 반면, 신체적 노화가 진행된 고령자에게는 기본적인 행동들조차 보조도구 없이 하기 힘든 행위이다. 고령자에게 보행 이동성은 기본적인 활동 욕구의 충족을 위한 필요조건인데, 고령자가 장시간 거주하는 주거환경에서 기존의 휠체어를 사용하는 것은 움직임에 있어서 굉장히 제한적이다. 그리하여 다소 의존적인 일상생활을 하는 노인을 타겟으로 최적의 형태와 기능성을 지닌 노인 맞춤형 휠체어를 제안한다.

    Gyrofit은 좁은 실내에서의 이동과 움직임에 특화된 휠체어로, 기존의 휠체어와 다르게 신체와 일체화된 부피로 핏하게 디자인되었다. 또 다양한 움직임을 지원하고자 높낮이 조절 기능을 탑재하였고 자이로스코프 휠을 탑재하였기에 회전 시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는다. 고령자가 실내활동에서의 효율이 증가하고 가볍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보조하고자 한다.


    소개이미지

    Cohe

    워터프론트 문화 복합시설

    Cohe는 Cohesion 결속력의 줄임말로, 가족간의 결합과 화합을 추구하는 워터프론트 문화 복합 공간이다. 최근 세대간의 이슈와 갈등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가족들과의 관계까지 멀어지는 사회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세대를 잘 어우를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을 느끼고 화합을 추구하는 공간을 컨셉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세대간의 갈등과 소홀해진 가족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된 Cohe는 버려지는 폐건물을 활용한 공간이다. 또한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물놀이 시설과 미디어 아트 공간을 제공하며 세대의 화합과 환경개선을 동시에 전망하는 공간이다.

    그리하여 세대간의 격차 없이 기성세대, MZ세대든 누구나 즐겁게 놀 수 있는 수공간을 목표로 한다. 함께 이 공간에 방문한 일행들끼리 결속력을 다지는 공간이자 가족과의 시간을 오롯이 추억할 수 있는 힐링문화공간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미디어 아트를 통해서 젊은 세대의 공감을 얻고 자연과 맞닿은 공간을 연출하여 기성세대의 향수를 일으키고자 한다.


    소개이미지

  • 하지수

    B.soak

    Cosmetic custom device design

    초개인화 시대 속의 뷰티 업계에 부는 기술 혁신, 뷰티 테크가 발전 중이다. 뷰티와 기술의 합성어인 뷰티 테크는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속화되고 있는 기술 융합이 뷰티 분야에도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뷰티 테크의 발전은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을 남에게 두지 않고 개성과 자신감을 드러내는 시대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개인 맞춤형 기술이 발전 중이다.

    이런 흐름에 맞춰 다양한 피부 표현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제작 제품 디자인을 제안한다. 다양한 인종과 개인 성별 등을 포괄하고 다면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상황과 자신의 니즈에 맞게 추구하는 피부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돕는 B.soak을 통해 내 피부를 위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


    소개이미지

    Frome

    친환경 코스메틱 브랜딩 및 팝업스토어 공간 구성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제품과 기업을 선호하는 그린슈머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맞춰 뷰티 업계 역시 환경 보호에 집중하여 브랜드 가치로 내세우는 추세로 ‘Earth Beauty’가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 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코스메틱 브랜드 브랜딩 및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을 제안한다. 이 공간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용기 수거 및 리필 재사용 등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며 이런 활동들이 환경보호에 참여한다는 인식을 줌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지속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소개이미지

  • 공성은

    AI_MIXER

    실제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와 생성형 AI 명령 프롬프트 디자인의 결과

    생성형 AI는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퀄리티 좋은 새로운 자료로 가공하는 인공지능이다.
    디자이너들은 지식과 경험, 판단력을 기반으로 생성형 AI에게 가상적 요소들을 지시할 수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1970년대 이탈리아 멤피스 그룹을 주축으로 성행한 포스트 모더니즘 양식과 관련 학술 자료로 활용하여,
    디자이너의 실재적인 결과물과 AI의 가상성을 가진 결과물을 각각 도출한다. 두 과정을 비교해 AI 디자인 프로세스의
    장단점과 한계점을 표함으로써 생성형 AI의 적절한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응용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디자이너와 AI의 가상성과 실재성의 비교를 통해, 디자이너와 AI가 어디까지 상생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소개이미지

    창원시 용지호수 공공 시설물 디자인 프로젝트

    물과 빛, 음악이 담긴 미려한 곡선의 흐름

    창원시 성산구에 소재한 용지호수 공원은 물과 빛, 음악이 어우러지는 곳을 공원의 슬로건 으로 삼아,
    상징 시설인 음악 분수와 함께 오랜 기간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관리된 호수 공원이다.
    용지호수 공원의 공공 시설물은 이용객들의 편의성을 위해 주기적으로 관리되고 보존되어야 했기 때문에,
    긴 시간 동안 수많은 기관에 의해 도시 계획을 거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가 축적되어 용지호수 내부에는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공공 시설물이 비치되거나,
    같은 용도라도 그 디자인이 다르게 적용되는 등, 본래의 취지와 달리 올바른 관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용지호수 공원만의 장소적 특성을 조형 요소로 살려,
    공원에 비치된 공공 시설물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패키지 리디자인을 제안한다.


    소개이미지

  • 김영은

    onebrew

    최적의 발효 온도로 개인화된 막걸리 제조기

    1인 가구의 증가와 혼술·홈술 트렌드 확산으로 개인 맞춤형 막걸리 제조 기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onebrew는 막걸리의 복잡한 제조 과정을 발효부터 혼합까지, 공장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기기에 집약해 사용자가 카트리지 장착과 메뉴 선택만으로 알코올 농도와 맛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돕고, 스마트 제어 기술을 통해 최적의 발효와 숙성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전통주에 대한 관심과 수요를 높이고, 외국인들이 손쉽게 우리 전통주를 접하며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onebrew는 전통과 현대 기술의 융합으로 맞춤형 막걸리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혁신적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소개이미지

    BLUE HARBOR

    휴식과 문화를 함께 제공하는 용지호수공원 리디자인

    현재 경제적,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면서 사회가 크게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가치관이 바뀌면서 휴식의 개념이 문화를 경험하는 방향으로 달라졌다. 하지만 용지호수는 과거에 머물러 있으며 단순히 산책하거나 정적인 호수 감상, 운동 외에는 공원을 문화적으로 즐길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시민들이 단순한 활동에서 벗어나 쾌적한 공간에서 휴식할 수 있도록 호수라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심미적 요소를 만든다. 호수 안 쪽으로 가는 길과 물을 체험하는 활동, 기후에 영향 받지 않는 실내 공간으로 흥미로운 요소들을 제공하는 호수 공원 디자인을 제안한다.

    TIMELINE
    1946 농업용수 공급 경상도속천지리지:농지에 물을 공급하는 제언
    1974 용지제에서 용지호수 용지동 개발로 창원이 공단도시화
    1977 공원지정 4월 공원 지정 고시
    1984 조성계획 결정 용지호수 조성 계획 결정 시민들이 낚시를 즐김
    1990 최초 도심 수영장 가족단위가 주로 즐기는 놀이터가 되었음

    USER ANALYSIS
    시민들은 지금의 용지호수가 산책과 간단한 운동밖 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제한적인 공간이라고 인식 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족들과 함께 수영을 활동 적으로 즐길 수 있었던 과거를 그리워하기도 한다. 수공간은 인위적인 도시환경에서 쾌적하고 생기있 는 공간을 창출한다. 이에 심미적, 물과 관련된 흥미 로운 요소를 포인트로 공간 방향성을 잡았다.

    SITE ANALYSIS
    상업지역 용지호수는 상업지역을 방문한 사람들이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내는 공간으 로서 기능한다. 상업공간과의 조화로운 연계가 방문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주거지역 용지호수는 인근 주거지역에 있는 주민들에게 일 상적인 휴식처가 된다. 주거지역에서 바라보는 용지호수의 풍경은 높은 건물들 속에서 자연적인 경관을 제공해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녹지지역 용지호수와 녹지지역은 자연적인 연결성을 가 지며, 공원의 자연 요소와 호수의 물길이 녹지 지역의 확장된 느낌을 준다. 녹지지역과 호수 는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적 가치를 지니 며, 특히 새들이 쉬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수생 생물들이 서식하는 장소로 기능한다.
    공업지역 용지호수는 과거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조성 되었고, 이후 공업지역이 발달하면서 공업도시 창 원의 한 축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업 지역과의 관계는 용지호수의 역사적 변천을 나타 낸다.

    CONCEPT
    용지호수는 대부분 자연으로 이루어진 만큼, 도시에서 살던 시민들은 공원으로 모여들어 쉽게 느낄 수 없는 자연을 경험하려 한다. 이에 리디자인을 할 때, 인공적인 디자인은 시민들에겐 반감이 들 것이다. 자연의 기본 요소를 사용하여 최대한 훼손 시키지 않으면서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위해 구성하였다.

    나뭇잎 물 바람

    나뭇잎의 형태 바람결 형상 물방울의 곡선

    잎새다리 용지호수의 수상휴게소는 위치 상 시민들이 이용하기 불편하고, 안의 공간도 협소하다. 호수에 주로 나뭇잎이 수면 위로 떠 있는 점을 포인트로, 호수의 안 쪽으로 위치하면서 거리 문제 해결과 함께 물에 가까이 가서 감상하는 뷰를 연출한다. 그래스호퍼를 통해 새어나오는 빛을 통해 마치 숲에 있는 느낌을 만든다.
    물빛섬
    시민들은 과거 수영장을 그리워한다.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여 물을 직접 체험하고, 돌다리를 건너는 느낌과 누워서 호수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언덕 공원 특성 상, 비가 내리면 여러 가지 제약이 생기고, 공원 내에는 모일 수 있는 실내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릉지 안에서 매점, 위에서 호수 뷰를 감상하며 편하게 휴식하는 도서관까지 총 2층으로 구성한다.

    잎새다리부터 시작해서 긴 다리를 건너면서 작은 섬을 지나 바로 피크닉존으로 가거나, 바람언덕으로 방문할 수 있다. 바람언덕의 1층 내부에 매점이 있는데, 언덕 위치가 용지호수의 한 가운데에 있어서 방문하기 편하다. 바람언덕을 지나 정구장 앞에 바로 물빛섬이 위치해서 시민들은 원하는 활동을 즐길 수 있다.

    01호수입구 - 잎새다리 잎새다리에서 단에 앉아 가까이 호수를 감상하며 그래스호퍼로 된 지붕을 통해 은은한 빛을 받는다.
    02잎새다리 - 바람언덕이후 반대쪽 다리를 건너면서 바람언덕 쪽으로 천천히 나아간다.
    03바람언덕 - 물빛섬바람언덕에서 물빛섬으로 걸어가며 돌다리를 건너 마지막 장소에 도달한다.


    소개이미지